여진 모두 430여 차례, 내진 설계 안된 건축물 내부 피로도 쌓일 우려

입력 2016-09-26 04:55:05

지난 12일 경주에서 규모 5.8의 지진 발생 이후 여진이 400회 이상 이어지면서 건축물에 피로도가 쌓일 우려가 높아지고 있다.

25일 기상청에 따르면 이날 오전까지 총 430차례의 여진이 발생했다. 규모는 '1.5~3.0'이 414회, '3.0~4.0' 14회, '4.0~5.0' 2회 등으로 분석됐다.

대체로 현재 여진의 강도로는 건축물에 미치는 영향이 없을 것으로 파악된다. 내진설계가 된 건축물의 경우 규모 6.5의 지진까지 견딜 수 있고, 내진설계가 되지 않았더라도 5.0 정도 지진에 붕괴가 될 정도는 아닌 때문이다.

하지만 여진이 지속될 경우 건축물이 스트레스를 받을 수 있다는 우려도 제기된다.

내진설계가 되어 있지 않은 건축물 경우 지난 12일 규모 5.8의 지진으로 내부 균열 등 보이지 않은 타격을 입었을 가능성도 있어 계속되는 여진이 피로도를 높여 위험한 상태일 수 있다는 것. 건축업계 관계자들은 "노후 주택 등은 이번 정도 지진에도 내부 구조에 영향을 받았을 수 있다. 여기에 여진까지 이어지면 스트레스가 쌓이게 되고 더 큰 지진이라도 오면 상당히 위험하다"고 했다.

특히 유리나 마감재 등 비구조재는 상대적으로 피해 가능성이 크다는 것이 전문가들의 의견이다.

김승직 계명대 건축공학부 교수는 "세계적으로 지진 발생 이후 여진 피해를 분석하면 지금 규모의 여진으로는 구조재에 영향을 거의 미치지 않지만 비구조재는 위험할 수 있다"며 "올해 법 개정을 통해 비구조재에도 지진에 대비한 내진 기준을 만들었지만 이전에 설치된 부분에 대해서도 보완이 필요할 것"이라고 했다.

최신 기사