3년간 27억원 지원비 사라져…신사업 신청했지만 1차 탈락
국립안동대학교가 정부지원 사업에 잇따라 떨어지면서 위상이 추락하고 있다. 정부지원 사업에서 탈락한 것은 물론 지원받던 사업까지 중도 탈락, 대학 존립을 걱정하는 목소리까지 나오고 있다.
안동대의 대학특성화(university for Creative Korea'이하 CK) 사업단은 모두 3개다. 핵심 역량으로 손꼽히는 '국학' 분야를 비롯해 3개 사업단이 지난 2014년부터 매년 12억여원의 지원금을 받고 있다. 하지만 최근 정부의 중간평가에서 이 가운데 2개 사업단이 자격 미달로 중도 탈락했다.
이번에 탈락한 사업은 당초 오는 2018년 2월까지 5년간 지원되기로 예정됐지만 사업 기간의 절반도 채우지 못했다. 장학금과 해외 탐방 등 6개 학과에 돌아가던 연간 9억여원, 남은 3년 27억원 상당의 지원비가 사라져 버린 것.
앞서 지난 5월에도 안동대는 학생들의 반대를 무릅쓰고 최대 400억원을 지원 받을 수 있는 '프라임 사업'(산업연계 교육 활성화 선도대학 사업)을 신청했지만 1차 심사도 통과하지 못했다. 안동대 교수와 교직원들은 2천500명이 안 되는 대학 정원에서 온갖 방안을 구상해 171명을 이동시키고 7개 단과대학을 5개로 줄였지만, 파격적인 사립대들의 구조조정 안을 넘기는 어려웠다.
그 결과 학생들의 반대에도 사업을 강행 추진했다는 '불통(不通) 대학'이라는 꼬리표만 남게 됐다.
교육부의 대학 정원 감축 정책으로 지방대학의 손해가 커지는 상황에서 사업에 연이어 탈락한 만큼, 경북도 내 유일의 국립대인 안동대의 생존은 더 험난할 것이라는 전망이 나오고 있다.
21일 유은혜 국회의원(더불어민주당)이 공개한 '2013~2016학년도 대학구조개혁 정책 분석 결과'에 따르면 2014년부터 올해까지 정원 감축한 141개 대학 중 77%(1만6천194명)가 지방대학에 집중됐고 100명 이상의 대량 정원 감축이 이뤄진 87개 대학 중 72개 대학도 지방소재 대학인 것으로 나타났다.
유 의원은 "지역거점 대학으로의 국공립대 육성에 대한 비전도 없이 무조건 원점 출발선 경쟁만 강조하고 있는 상황"이라며 "교육부가 2주기(2017~2020년) 평가지표를 대폭 보완하지 않는 한 2주기 평가는 지방대 쓰나미가 반복될 것"이라고 지적했다.
이에 대해 안동대 관계자는 "최근 대학특성화 사업의 중간 평가에서 탈락해 지원금이 줄어든 것은 사실이지만 목적사업 지원금이라서 마음대로 쓸 수 있는 돈이 아니었기 때문에 대학의 구조개혁과는 큰 관계가 없다"며 "부족한 지원금 보충을 위해 국립대학혁신지원사업의 2016년도 신규선정평가(지원금 규모 5억원)를 기다리고 있다"고 말했다.
댓글 많은 뉴스
이재명 90% 득표율에 "완전히 이재명당 전락" 국힘 맹비난
권영세 "이재명 압도적 득표율, 독재국가 선거 떠올라"
이재명 "TK 2차전지·바이오 육성…신공항·울릉공항 조속 추진"
대법원, 이재명 '선거법 위반' 사건 전원합의체 회부…노태악 회피신청
한덕수·이준석 이어 전광훈까지…쪼개지는 보수 "일대일 구도 만들어야"