경주 '특별재난지역' 사실상 확정…당정청 고위 협의회서 합의

입력 2016-09-22 04:55:02

완전 정상화 위해 설계 착수…부처 예산 우선 투입 길 열려

강진으로 막대한 피해를 본 경주를 특별재난지역으로 선포하는 방안이 사실상 확정됐다. 강진 피해 복구작업에 속도가 붙을 전망이다.

정부와 청와대, 새누리당은 21일 서울 삼청동 총리 공관에서 고위급 협의회를 열고 20일 박근혜 대통령이 경주를 방문, "경주를 특별재난지역으로 선포하라"는 지시를 한 것과 관련해 경주를 특별재난지역으로 선포하는 데 합의했다.

경주가 특별재난지역이 됨에 따라 추가 피해 방지를 위한 응급복구작업 중인 경북도와 경주시는 하루빨리 경주가 완전 정상화되도록 복구작업에 속도를 낼 방침이다.

경북도'경주시에 따르면 현재 피해시설의 80% 가까이가 응급조치를 받았다. 경북도'경주시는 나머지 시설에 대한 응급복구에 집중하고 동시에 완전복구를 위한 설계 등에 들어갈 방침이다. 설계 비용은 도비와 시비로 우선 충당하며 설계가 끝나면 바로 공사에 들어갈 예정이다.

피해액과 복구액 확정도 빨라진다. 21일부터 2박 3일간 중앙합동조사단이 경주시가 파악한 피해 현황을 토대로 정밀조사를 벌여 피해액과 복구액을 산정한다.

이 금액을 국민안전처가 심의해 확정하는데 특별재난지역으로 확정됨에 따라 피해금액 산정 절차도 빨라질 것으로 기대된다. 또 특별재난지역 선포에 따른 국비 지원에 앞서 중앙부처별로 편성한 복구비와 경북도에서 확보한 복구비를 우선 투입하는 길도 열릴 것으로 보인다. 복구작업에 탄력이 붙을 가능성이 커진 것이다.

경북도 관계자는 "특별재난지역 선포가 경북도와 경주시의 당초 예상보다 많이 앞당겨졌다. 피해액과 복구액 확정, 국비 지원 등의 절차 진행도 최대한 빨리 될 것으로 보인다"며 "완전복구를 위한 설계에 즉시 들어가 경주를 조속히 정상화시키겠으며 천년고도 명품 관광도시의 명성을 다시 찾을 수 있도록 모든 행정력을 동원하겠다"고 했다.

최신 기사