북한이 5차 핵실험을 한 풍계리 핵실험장 2번 갱도뿐 아니라 3번 갱도의 입구에도 대형 위장막을 설치함에 따라 이른 시일 내 6차 핵실험 가능성이 큰 것으로 분석됐다.
군과 정보 당국은 북한이 '백두산'(대포동) 계열의 대륙간탄도미사일(ICBM) 발사와 추가 핵실험 등 연쇄적인 핵'미사일 도발을 감행할 수 있다고 판단, 대북 감시를 강화하고 있다.
복수의 정부 소식통은 21일 "북한이 지난 9일 5차 핵실험을 실시한 2번 갱도 입구와 추가 핵실험을 진행할 가능성이 큰 3번 갱도 입구에 모두 대형 위장막을 설치했다"면서 "이들 갱도 입구의 위장막은 5차 핵실험 이전에 설치됐다"고 밝혔다.
2번 갱도 입구에 설치된 위장막이 핵실험 이후에도 철거되지 않고 있는 것은 지난 16일(현지시간) 미국의 북한 전문매체인 '38노스'가 공개한 위성사진에서 드러난 바 있다. 하지만 3번 갱도 입구에 위장막이 설치된 사실은 그간 공개되지 않았다. 당국이 핵실험을 한 번도 하지 않았던 3번 갱도에서 6차 핵실험을 진행할 가능성이 크다고 판단한 유력한 근거도 입구에 설치된 대형 위장막 때문이다.
국방부는 함경북도 길주군 풍계리 핵실험장은 추가 핵실험을 할 수 있는 준비가 항상 되어 있고 2번 갱도의 일부 가지 갱도나 3번 갱도에서 다 가능하다는 입장을 밝힌 바 있다.
이에 정부의 한 소식통은 "2번 갱도와 3번 갱도 주변 상황은 5차 핵실험 직전의 상태와 동일하다"면서 "2개의 갱도에서 언제든지 핵실험을 할 수 있는 준비를 마친 것으로 평가하고 있다"고 전했다.
북한의 1차 핵실험(2006년 10월 9일)은 1번 갱도에서, 2차(2009년 5월 25일)'3차(2013년 2월 12일)'4차(2016년 1월 6일)는 2번 갱도에서 실시했다. 지난 9일 5차 핵실험 장소도 4차 핵실험이 이뤄졌던 곳에서 400~500m 떨어져 있다.
다른 소식통은 "다음 달 10일 노동당 창당 기념일 등 의미 있는 날을 선택해 핵실험과 백두산 계열의 ICBM 발사 도발 등의 행동 조치를 할 가능성이 높다"고 전망했다.
연합뉴스
댓글 많은 뉴스
권영세 "이재명 압도적 득표율, 독재국가 선거 떠올라"
이재명 90% 득표율에 "완전히 이재명당 전락" 국힘 맹비난
이재명 "TK 2차전지·바이오 육성…신공항·울릉공항 조속 추진"
전광훈 "대선 출마하겠다"…서울 도심 곳곳은 '윤 어게인'
이재명, 민주당 충청 경선서 88.15%로 압승…김동연 2위