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사설] 지진 공포 겪는 경주 시민에게 심리 상담 및 각종 지원 서둘러야

입력 2016-09-21 04:55:01

19일 경주에서 규모 4.5의 지진이 또다시 발생해 주민들을 공포에 떨게 했다. 지난 12일의 규모 5.8에 비해 강도가 약하다지만, 일주일 새 400차례가 넘는 여진이 계속되다 보니 주민들의 불안감은 이루 말할 수 없을 정도로 크다. 주민들의 공포와 불안감을 해소하기 위해선 정부'정치권이 특단의 대책을 내놔야 한다는 목소리가 높다.

이날 밤, 진앙지와 가까운 경주 시민은 물론이고, 경상도 지역 주민들은 놀란 가슴을 안고 집 밖으로 뛰쳐나왔다. 여진을 걱정해 밤새 차 안이나 공터에 머문 가족이 많다고 하니 모두가 지진 공포에 진저리를 치는 모습이었다. 경주 시민들은 지난 12일의 강진으로 인해 피해 복구를 하고 있던 와중에 또다시 같은 일을 겪고 나니 더 황망한 심정일 수밖에 없다.

지진이 한두 차례로 끝났으면 모를까, 잊을만 하면 자꾸 닥치는 상황이다 보니 주민들은 정신적으로 불안정한 상태를 보일 수밖에 없다. 일부 경주 시민은 그리 멀지 않은 곳에서 잇따라 발생하는 지진에 대한 두려움을 호소하면서 '이곳에서 계속 살아야 하나'는 걱정까지 한다. 지진으로 인한 트라우마(정신적 외상) 증상을 보이는 이들이 적지 않은 실정이다. 경주의 관광업과 경제 활동이 급속도로 위축되고, 그 여파가 얼마나 오래갈지 예측할 수 없는 상황이어서 당장에 먹고살 걱정을 하는 이들도 많다.

지진 재해는 대한민국 건국 이래 초유의 사태다. 전례가 없는 사건이기에 정부나 지자체, 주민 모두가 당황하고 혼란스러운 모습을 연출한다. 자연재해는 인간의 힘으로 완벽하게 막을 수 없다지만, 피해자를 위로하고 정상 생활로 돌아가게 하는 것은 정부와 지자체의 당연한 의무다. 진앙지와 인접한 경주 시민들에게 두려움을 해소할 심리 상담을 확대하고, 생활을 안정화하는 대책을 서둘러 마련해야 한다.

재원이 더 필요하다면 특별법을 만들어서라도 경주 및 인근 지역에 대한 지원을 확대해야 할 것이다. 박근혜 대통령과 여야 지도부가 경주를 방문해 주민을 위로하는 것은 도움이 되는 일이다. 그것도 좋지만, 경주 시민에게 실질적으로 도움이 될 만한 지원책을 내놓는 것이 먼저다.

최신 기사