월성, 사용후핵연료 포화 상태…지역민 "후쿠시마 사태 떠올라"
경주 지진으로 월성 원자력발전소 1~4호기가 가동 중단 사태를 맞고 있는 가운데 원자력발전소에 대한 대구경북 지역민들의 정서가 급격하게 나빠지고 있다. 국내 가동 원전 24기 중 12기를 갖고 있는 경북에 최근 강진이 집중되면서 일본 후쿠시마 악몽을 떠올리는 지역민들이 급증하고 있는 것이다.
특히 현재 가동 원전 지하에 보관 중인 사용후핵연료가 경주 월성원전부터 가장 먼저 포화상태에 이르는 것으로 드러나면서 경북도 내 원전에 대한 반감은 더욱 커지고 있다.
국회 미래창조과학방송통신위원회 유승희 의원(더불어민주당)이 20일 원자력안전위원회로부터 제출받은 자료에 따르면 6월 기준으로 4개 부지 25개 임시 저장시설의 사용후핵연료 총 저장 가능용량 중 82.8%가 이미 포화상태에 있는 것으로 확인됐다.
총 저장 가능용량 52만4천755다발 가운데 누적 저장은 43만4천475다발에 달하는 것으로 나타나 조만간 각 원전 부지별로 수용불능상태에 다다를 것으로 예상됐다. 이 중 경주의 월성원전 부지가 저장용량 비율이 가장 높은 83.5%로 나타났다.
올해 포화될 것으로 예상됐던 고리부지(6천494다발)의 경우 최대 저장기준 용량을 1천500다발 늘리면서 87.4%에서 71%로 누적 저장 비율이 일단 줄었다. 호기별로는 울진 한울 2호기가 97.1%로 가장 높았고, 월성 3호기(94.8%), 부산 기장군 고리 3호기(94.5%), 고리 4호기(92.2%), 한울 1호기(91.0%) 등의 순이었다.
유승희 의원은 "고준위 핵폐기물 저장능력이 조만간 포화상태에 이르는 데도 사용후핵연료 처리 대책에 대해서는 논의조차 하지 못하고 있다"며 "원전 및 방폐장 주변에 지진위험까지 발생한 상황에서 정부가 해야 할 일은 원전 의존도를 낮추고 신규원전 건설을 중단하는 것"이라고 지적했다.
울진 시민단체 '핵으로부터 안전하게 살고 싶은 울진사람들'은 19일 성명을 내고 '울진 신규 원전 건립 계획 중단'을 촉구했고 새 원전 계획이 고시된 영덕에서도 같은 움직임이 나타나고 있다.
댓글 많은 뉴스
이재명 90% 득표율에 "완전히 이재명당 전락" 국힘 맹비난
권영세 "이재명 압도적 득표율, 독재국가 선거 떠올라"
이재명 "TK 2차전지·바이오 육성…신공항·울릉공항 조속 추진"
대법원, 이재명 '선거법 위반' 사건 전원합의체 회부…노태악 회피신청
한덕수 "24일 오후 9시, 한미 2+2 통상협의…초당적 협의 부탁"