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규모 5.8 지진> '역대 최강' 지진 한반도 강타…'안전지대 아냐' 우려 현실화

입력 2016-09-12 22:01:19

 한반도가 더는 '지진 안전지대'가 아니라는 우려가 현실화하는 모습이다.

 12일 오후 우리나라에서 지진 관측사상 최강 규모인 5.8의 지진이 발생했고,이에 앞서 규모 5.1의지진도 발생했다.

 이날 오후 7시 44분 경북 경주시 남서쪽 9㎞ 지역에서 한반도에서 5.1 규모 지진이 발생했다.이어 1시간이 채 지나지 않은 오후 8시 32분 경주시 남남서쪽 8㎞ 지점에서 1차 지진보다 강한 5.8규모의 지진이 발생했다.이는 한반도에서 발생한 역대 최대 규모의 지진이다.

 한반도는 지질 구조상 일본과 같은 판 경계가 아니라 판 내부에 있어 지진 안전지대라는 관측이 그간 우세했다.

 그러나 올해 7월 5일 울산 해역에서 규모 5.0의 강한 지진이 발생한 데 이어 이날 5.0을 웃도는 큰 규모의 지진이 두 차례 한반도를 강타했다.'한반도 지진 안전지대론'이 힘을 잃는 모습이다.

 이날 지진이 한반도 기준으로는 이례적으로 큰 규모라는 데는 학계의 이견이 없다.역대 최대 규모인 데다 5.0대 지진이 짧은 시간에 두 차례나 발생했다는 점에서유례를 찾기 어렵다.

 지진 전문가 홍태경 연세대 지구환경시스템과학과 교수는 이번 지진 원인을 2011년 발생한 동일본 대지진의 여파로 지목했다.

 홍 교수는 "동일본 대지진이 난 지 5년밖에 지나지 않았고,과거 수마트라 대지진은 10년간 여진을 일으킨 전례가 있다"며 "이 여파가 지속하면서 오늘과 같은 수준의 지진이 또 발생할 수 있다"고 분석했다.

 그는 "대지진 여파는 지진 발생 빈도가 확 높아졌다가 회복세에 접어들고,다시높아지는 일이 반복되는 식으로 나타난다"며 "오늘 지진은 빈도가 급증하는 시점이 됐다는 뜻으로,향후 지진이 증가 추세를 보일 수 있다"고 말했다.

 전문가들은 지진 대비가 제대로 돼 있지 않은 국내 건축 상황을 크게 우려하며 당장 대비에 착수해야 한다고 조언했다.

 홍 교수는 "규모 5.8이면 진앙지의 낡은 건물이 무너질 수 있는 정도"라며 "내진 설계가 제대로 돼 있다면 모르겠지만,노후한 건물은 그냥 무너지는 수준이어서 늦기 전에 당장 안전 대비를 해야 한다"고 말했다.

 서균렬 서울대 원자핵공학과 교수는 "원자력발전소 안전이 가장 중요하다"며 "내진 설계가 돼 있지만,국내에서 지진 발생 규모가 커지면 그에 대한 대비가 필요하다"고 밝혔다.

 그는 "원전에 큰 충격이 가해져 가동이 자동 정지되면서 큰 혼란이 발생할 수 있으므로 정부가 지진 시나리오를 짜 대책을 마련해야 한다"고 강조했다. 연합뉴스

 

최신 기사