대한민국의 인구가 5년 전보다 2.7% 증가하면서 5천만 명 시대가 열렸다. 1985년 4천만 명 시대에 진입한 지 30년 만이다. 그러나 지역별'연령대별 분포를 살펴보면 수도권 집중이나 저출산'고령화에 따른 문제가 가속화되는 모습이다. 특히 65세 이상 고령인구가 전체 인구 증가세를 주도하는 가운데 전남 지역은 광역 지자체 중 처음으로 초고령화사회에 진입했다. 외국인 인구가 처음으로 100만 명을 돌파했지만 전체 인구 구조 변화를 막기에는 역부족인 모습이다.
통계청은 이 같은 내용을 담은 '2015 인구주택 총조사 전수 부문' 결과를 7일 발표했다.
◆인구 연평균 0.5% 증가…5천만 시대 진입
지난해 11월 1일 기준 우리나라에 거주하는 총 인구(외국인 포함)는 5천107만 명으로 집계됐다. 우리나라 인구는 1985년(4천45만 명) 4천만 명 시대를 연 뒤 1990년 4천341만 명, 1995년 4천461만 명, 2000년 4천614만 명, 2005년 4천728만 명, 2010년 4천971만 명에 이어 30년 만에 5천만 명 시대에 진입했다. 성별로는 남자가 2천561만 명으로 2.7%, 여자가 2천546만 명으로 2.8% 늘었다. 인구밀도는 ㎢당 509명으로 2010년(497명)보다 12명 많아졌다. 우리나라는 방글라데시(1천237명), 대만(649명)에 이어 인구 1천만 명 이상 국가 중 세 번째 인구 조밀국가로 분석됐다.
수도권(서울, 인천, 경기) 인구는 전체 인구의 49.5%인 2천527만 명으로 2010년(49.2%) 대비 0.3%포인트 상승했다. 수도권 인구 비율은 2000년 46.3%에서 2005년 48.2%, 2010년 49.2% 등으로 계속 상승하면서 수도권 집중 현상이 여전한 것으로 나타났다.
◆유소년 인구 100만 명 줄고 고령 인구는 100만 명 이상 증가
전체 인구수는 증가했지만 연령대별로보면 저출산'고령화의 지속으로 유소년 인구는 감소하고 중년 이상, 특히 고령 인구만 급격히 늘어나고 있다.
지난해 11월 1일 기준 유소년 인구(0∼14세)는 691만 명(13.9%)으로 2010년 788만 명(16.2%) 대비 97만 명(2.3%포인트) 감소했다. 반면 65세 이상 고령 인구는 657만 명(13.2%)으로 2010년 536만 명(11%) 대비 121만 명(2.2%포인트) 늘어났다. 이에 따라 유소년 인구에 대한 고령 인구의 비율인 노령화지수는 2010년 68.0에서 2015년 95.1로 급상승했다.
◆전남 첫 초고령사회 진입
우리나라 모든 시도의 고령 인구 비율이 7%가 넘어 고령화사회에 진입했고 전남(21.1%)은 광역 지자체 중 처음으로 전체 인구의 20% 이상이 65세가 넘는 초고령사회에 도달했다. 전북(17.9%), 경북(17.8%), 강원(16.9%), 충남(16.3%) 등도 이미 고령사회(65세 이상 인구 14% 이상)를 넘어 초고령사회 진입이 멀지 않은 것으로 나타났다. 65세 이상 고령 인구 비율이 높은 시'군'구는 전남 고흥군(38.5%), 경북 의성군(38.2%), 경북 군위군(37.5%) 등이었다.
◆성씨 5천582개…金'李'朴'崔'鄭 순
우리나라 전체 성씨는 5천582개로 1천 명 이상인 성씨는 153개였다. 해당 인구는 내국인(4천971만 명)의 대부분(99.8%)인 4천958만 명이었다. 상위 10대 성씨는 김, 이, 박, 최, 정, 강, 조, 윤, 장, 임 순이었고 이들 10대 성씨가 차지하는 비율은 2000년 64.1%에서 2015년 63.9%로 0.2%포인트 감소했다. 김 씨가 1천69만 명(21.5%)으로 가장 많고, 이 씨 731만 명(14.7%), 박 씨 419만 명(8.4%) 등이 '빅3'를 유지했다. 우리나라 성씨본관은 3만6천744개, 1천 명 이상인 성씨본관은 858개로 전체 인구의 97.8%인 4천861만 명이 해당했다.
상위 10대 성씨본관이 차지하는 비율은 35.7%로 김해 김씨 446만 명(9%), 밀양 박씨 310만 명(6.2%), 전주 이씨 263만 명(5.3%) 등의 순이었다.
◆외국인 100만 명 시대…10명 증 6명 수도권 거주
국내 거주 외국인은 2010년 96만 명에서 2015년 136만 명으로 41.6% 증가하면서 처음으로 100만 명을 넘었다. 총 인구에서 차지하는 비중은 2.7%였다. 10명 중 6명꼴인 62.9%(86만 명)가 수도권에 거주했는데 2010년 64.3%(62만 명)와 비교하면 1.4%포인트 내려갔다.
연합뉴스
댓글 많은 뉴스
권영세 "이재명 압도적 득표율, 독재국가 선거 떠올라"
이재명 90% 득표율에 "완전히 이재명당 전락" 국힘 맹비난
이재명 "TK 2차전지·바이오 육성…신공항·울릉공항 조속 추진"
전광훈 "대선 출마하겠다"…서울 도심 곳곳은 '윤 어게인'
이재명, 민주당 충청 경선서 88.15%로 압승…김동연 2위