인근 주민 4,800여 명 대구시에 탄원서 제출
오는 2020년 공원 예정지에서 해제되는 대구 수성구 삼덕동 대구대공원 조성사업이 표류를 거듭하고 있다.
수성구청과 주민들은 공원 개발 독촉에 나선 반면 대구시는 난개발 우려와 균형 발전 저해 등을 이유로 난색을 표하고 있다. 이런 가운데 공원 부지 인근 주민 4천800여 명은 지난달 30일 대구시에 탄원서를 제출하는 등 집단 행동에 나섰다.
대구시는 지난 1993년 이 일대 개발제한구역을 '대구 대자연공원'으로 지정하고 다양한 활용방안을 검토해 왔다. 그러나 현재까지 전체 계획부지 187만8천637㎡(56만 평) 중 89%인 168만6천558㎡(51만 평)가 미개발 상태로 방치된 상태다. 대구대공원 부지는 달성공원 동물원 이전터로 꼽히기도 했지만 1천200억원 규모의 재원 마련이 쉽지 않고, 달성군과 동물원 유치 갈등을 빚으면서 개발 계획도 잠정 유보됐다. 이 상태가 계속되면 오는 2020년 7월 공원부지에서 지정 해제된다.
이에 따라 수성구청은 지난해 아파트 건설 등 민간 자본 유치 개발안을 내놨다. 시장의 권한으로 30만 제곱미터 이하 부지의 용도를 변경하면 수성구청과 추진위가 직접 개발을 추진하겠다는 내용이다.
주민들도 대공원 개발을 촉구하고 나섰다. 이 일대 주민 4천800여 명은 지난달 30일 명확한 도시공원 계획안 발표를 촉구하는 탄원서를 제출하고 단체 행동을 지속하기로 했다. 김지우 대구대공원추진위원회 총무는 "개발제한구역과 공원 터로 중복지정된 탓에 가축을 키우거나 작목 품종을 늘리는데 제약이 있고 작물 운반에 필요한 농로도 낼 수 없다. 농촌체험마을 사업도 공원개발 구역이라 불가능하다"면서 "이곳에 사는 주민들은 아무것도 할 수 없는 상황"이라고 주장했다.
그러나 대구시는 민자 유치가 되려면 개발제한구역 해제가 우선이어서 현실성이 부족하다고 맞서고 있다. 시가 용도변경을 허가하더라도 국토교통부가 개발제한구역을 해제하지 않으면 수익사업이 불투명하다는 것이다. 장기간 방치된 도심 공원 부지와 형평성 문제도 걸림돌이다.
대구시 관계자는 "시가 나서서 부지를 개발하고 공공목적으로 개발할 수 있지만 1천200억원에 이르는 재원을 마련하기 쉽지않다"면서 "더구나 대구대공원은 도심 외곽에 있기 때문에 당장 매입, 개발이 급한 도심 내 공원 부지와 형평성을 고려해 사업 후순위로 밀릴 수밖에 없다"고 밝혔다.
댓글 많은 뉴스
이재명 90% 득표율에 "완전히 이재명당 전락" 국힘 맹비난
권영세 "이재명 압도적 득표율, 독재국가 선거 떠올라"
이재명 "TK 2차전지·바이오 육성…신공항·울릉공항 조속 추진"
대법원, 이재명 '선거법 위반' 사건 전원합의체 회부…노태악 회피신청
이철우 "안보·입법·행정 모두 경험한 유일 후보…감동 서사로 기적 만든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