김태오 금오공대 환경공학과 교수팀, 광변환율 8.68%까지 고효율 태양전지 개발

입력 2016-09-06 04:55:06

김태오 금오공대 환경공학과 교수 연구팀은 금속산화물을 첨가한 새로운 광반응 물질을 염료감응형 태양전지에 적용, '고효율 태양전지' 개발에 성공했다고 5일 밝혔다.

연구 결과는 '이산화규소(SiO2)로 도핑된 염료감응형 태양전지의 광산란 특성 향상'이란 논문명으로, 국제학술지인 '저널오브 파워소스'에 게재됐다.

김 교수 연구팀은 질소(N)와 이산화규소(SiO2)를 합성, 이산화티탄(TiO2)에 도핑해 새로운 광반응물질을 제조했다. 연구팀은 이를 염료감응형 태양전지에 접목해 빛의 흡수 능력이 향상되고 광변환 효율이 8.68%로 개선된 연구결과를 얻었다.

특히 제조한 광반응 물질의 물리'전기적 특성의 평가 결과 전자 재결합의 감소 측면에서 우수함을 증명했고, 태양전지 분야 이외에도 대기환경 분야에서 탈취 및 유해가스를 제거하는 흡착제'광촉매로 사용 가능할 것으로 기대하고 있다.

김 교수는 "미래 고부가가치의 에너지화를 실현하는데 최선을 다하겠다"고 밝혔다.

한편, 김 교수는 지난 3월 산업폐수에서 신재생에너지원을 개발하고, 폐수 내 발암물질 처리 기술을 세계 최초로 개발한 바 있다.

최신 기사