아시아에 뺏긴 런던 외환거래 10여년 만에 점유율 줄어들어

입력 2016-09-02 19:26:05

중국 위안화의 거래 비중이 늘면서 영국 런던이 글로벌 외환거래에서 차지하는 지위가 흔들리고 있다고 파이낸셜 타임스(FT)가 1일(현지시간) 보도했다.

국제결제은행(BIS)이 이날 발표한 서베이 결과에 따르면 런던의 점유율은 2013년 41%였으나 올해 37.1%로 줄어들었다. 런던의 비중이 하락한 것은 10여년 만에 처음이다.

아시아의 주요 외환시장인 도쿄와 홍콩, 싱가포르 등 3개 도시가 차지하는 점유율은 같은 기간에 총 15%(2013년)에서 21%(올해)로 늘어났고 뉴욕은 19%로 변동이 없었다. 런던이 상실한 몫이 아시아로 옮겨간 셈이다.

통화별로는 중국 위안화의 비중이 2배 늘어나면서 멕시코의 페소화를 제치고 신흥시장 통화 가운데 가장 많이 거래됐다. 하루 거래량은 2013년 1천200억달러에서 올해 2천20억달러로 늘어났고 그에 따른 점유율도 2%에서 4%로 상승했다.

반면에 런던의 은행들이 주로 거래하는 유로화와 일본 엔화, 호주 달러화, 스위스 프랑화는 모두 비중이 축소됐다. 특히 유로존 채무 위기로 타격을 받은 유로화의 비중은 채무 위기 당시인 2010년 39%이던 것이 올해는 31%로 급감한 것으로 나타났다.

브렉시트(영국의 유럽연합 탈퇴)의 여파로 런던의 지위는 향후에도 계속 흔들릴 가능성이 높다. 런던은 유로화 거래의 중심지로 자리 잡고 있지만 프랑스 등으로부터 도전을 받고 있고 외국계 은행들이 런던을 기피할 가능성이 없지 않기 때문이다.

연합뉴스

최신 기사