경부선·고속철 모두 지하로…도심 공유지 확 는다

입력 2016-09-02 04:55:02

6천억 들여 철로변 정비, 중복투자 논란에도 수도권 GTX·강원 철도 지하화로 탄력 받을 듯

대구시가 경부선 지하화 타당성 조사에 나서면서 실현 가능성에 관심이 쏠리고 있다.

시의 타당성 조사 대상은 기존 경부선에 경부고속철까지 함께 지하화하는 방안으로 만약 추진이 된다면 대구를 남북으로 가르고 있는 철도가 사라지고 도심 공유지가 대폭 늘어나면서 도심 발전을 획기적으로 앞당길 수 있다.

하지만 경부선 지하화는 현실적으로 쉽지 않은 과제다. 이미 정부가 1조원이 넘는 예산을 투입한 철로 정비와 주변 정비 사업이 올 연말 준공을 앞두고 있어 예산 중복 투자 논란이 불가피한데다 사업 주체가 정부인 만큼 수용 여부도 불투명한 탓이다.

대구시 관계자는 "타당성 조사 결과를 국토교통부에 올리면 추진 사업으로 선정되더라도 다시 기획재정부에서 사업 타당성 여부에 대한 조사를 해야 한다"며 "지상화에 막대한 예산을 투입해 준공을 앞두고 있는 시점에 다시 정부를 설득해 지하화 사업을 추진하는 것이 쉽지만은 않을 것 같다"고 밝혔다.

경부선 지하화 논란은 오랜 역사(?)를 갖고 있다. 1990년 고속철 지하화 사업과 함께 도심 통과 구간 지하화가 추진됐지만 10여 년간의 논란 끝에 대구시는 2004년 지상화 결정을 했다.

지하화 요구에는 미래 대구 도심 발전을 위해 경부선 지하화가 필수적이고 정부가 최초 고속철 사업을 계획할 때 도심 통과 구간에 대해 지하화 결정을 내린 때문이다. 하지만 지하화를 위해서는 2000년 초반 기준으로 1조6천억원에 이르는 예산이 필요한 데다 대구와 같이 도심을 경부선이 가로지르는 대전이 지상화에 찬성하면서 결국 대구시도 지하화를 포기했다. 철로변 정비 구간은 서구 상리동~수성구 만촌동 간 11.5㎞로 공사가 마무리 단계에 들어가 있다.

경부선 지하화가 수면 위로 부상한 것은 지난 총선을 통해 공약 사업으로 선정되면서부터다.

조원진 새누리당 최고위원(달서병)은 "경부선 대구도심통과구간 지하화 사업은 대구 전체 지도를 바꾸고, 신성장동력을 만들 수 있는 중대한 사업"이라면서 "대구시가 중앙정부와 적극적으로 협력해야 하고 국회에서도 노력하겠다"고 말했다. 또 조 의원은 "최근 당 지도부가 박근혜 대통령에게 인사 갔을 때 지하화 사업에 대해 말씀드렸고 박 대통령이 검토해 보라고 지시했다"며 "서울과 강릉에서 보듯 지하화는 공법상 문제가 없다"고 밝혔다.

실제 수도권에서는 철도 지하화 사업이 탄력을 얻고 있다.

수도권 광역급행철도(GTX) 일산~삼성 구간(약 36.4㎞) 노선의 지하화 사업이 시작됐고 원주~강릉 철도건설 사업에서 강릉시 도심 구간 약 9.8㎞ 중 2.7㎞도 지하화하기로 결정된 때문이다. 또 인천도 경인전철 지하화 사업에 적극적으로 나선 상태다.

KTX 도심 구간 지하화를 공약으로 내건 정종섭 새누리당 의원(동갑)은 "이번 용역을 계기로 대구시는 공항이전과 함께 대구발전의 큰 그림을 그릴 필요가 있다"면서 "국회 국토교통위원회 위원으로서 지하화 사업이 성공적으로 마무리될 수 있도록 최선을 다하겠다"고 말했다.

최신 기사