공공택지 의존도 높은 지역 건설사, 사업용지 확보에 '제동'

입력 2016-08-29 04:55:08

아파트 물량 조정 '후폭풍'

정부가 가계부채 관리차원에서 공공택지 공급축소 등 신규 아파트 분양물량 조정에 나선 가운데 대구 건설사들이 후폭풍을 주시하며 정중동하고 있다. 대구의 경우 화성산업 등 일부 업체를 빼고선 신규 아파트 분양에서 공공택지 의존도가 높아 타격이 불가피하기 때문이다.

지역 건설업계에 따르면 정부가 내놓은 정책 하에선 주택사업 비중이 절대적인 대구 건설사에는 독(毒)이 될 수밖에 없다. 공공택지 공급이 줄고 프로젝트파이낸싱(PF) 대출보증 등이 까다로워지면 '원재료'인 사업용지 확보부터 제동이 걸린다. 한 건설사 간부는 "대형 건설사들은 주로 민간택지나 도시정비 사업 비중이 높고 사업 포트폴리오도 토목'플랜트'해외 등으로 분산돼 있어 큰 타격이 없겠지만 공공택지 의존도가 높은 중소건설사들은 고사 위기에 처할 수도 있다"고 걱정했다.

하지만 우려 속에도 기회를 찾아야 한다는 목소리가 커지고 있다. 당장 성공적인 사업 다각화가 현안으로 다가왔다는 분위기가 지배적이다. 지역 건설사들은 저마다 공공택지 사업 축소를 감안해 앞으로 도시정비사업이나 뉴스테이, 토목사업 등으로 사업 영역을 확대하는 방안을 검토하고 있다. 아울러 재건축'재개발 사업을 적극적으로 공략할 계획도 세워두고 있다.

대구건설협회 측은 "그간 공공택지는 사업구조가 안정적이고 분양성이 보장돼 중견 건설사들의 성장에 크게 기여해왔다. 앞으로 지속적인 사업 추진을 위해 수주 역량을 키우고 사업 포트폴리오도 적절히 구성하는 등 회원사와 협회 차원의 많은 고민이 필요할 것"이라고 했다.

최신 기사