새누리 당협위원장 내달 초 선출…김문수·양명모는 어떻게?

입력 2016-08-26 04:55:02

새누리당이 지역조직 정비에 나선다. 내년 12월 대통령 선거를 대비하기 위한 조치다.

국회의원 선거구별로 구성된 전국 246개 당원협의회가 개편대상이다.

새누리당은 25일 최고위원회의를 열어 모든 당원협의회가 내달 9일까지 운영위원회의를 개최해 운영위원장(당협위원장)을 선출하기로 의결했다. 당협위원장 후보는 현재의 조직위원장이다. 다만, 일부 사고(조직위원장 탈당 및 구속) 당협의 위원장 선출은 미뤄진다.

새누리당은 4'13 총선을 앞두고 당협을 운영위원장에서 조직위원장 체제로 전환했었다.

아울러 새누리당은 개편을 완료한 당협의 옥석을 가리는 작업도 벌인다. 새누리당은 내년 1월부터 3월까지 신임 당협위원장과 해당 당협 대상으로 당무감사를 벌인 뒤 부실한 당협의 당협위원장은 교체하기로 했다.

당협위원장 교체는 당내 권력지형과 직결되는 사안이기 때문에 매우 신중하게 처리될 전망이다. 당협위원장의 정치적 성향에 따라 당의 대선 후보 및 대표 선출에 참여하는 당원과 대의원의 표심이 결정되는 사례가 많기 때문이다. 자칫 편파 시비가 발생할 경우 계파 간 전쟁이 불가피하다.

이에 새누리당은 위원장은 물론 위원의 3분의 1 이상이 외부인사로 구성되는 당무감사위원회에서 당무감사를 진행하기로 했다. 하지만 당무감사위원회의 활동지침이 될 부실 당협 기준을 두고 당내 이견이 좁혀지지 않고 있다. 당내 주류는 부실 당협의 기준을 미리 정하자는 입장이지만 비주류는 당무감사 후 기준을 확정하자고 맞서고 있다. 그동안 당내에선 '공직선거에서 수차례 연속 낙선'과 '당 지지율보다 현저히 낮은 득표율' 등을 부적격 당협위원장 기준으로 제시해 왔다.

대구경북 경우 4'13 총선에서 무소속으로 출마했다가 복당한 현역의원들의 당협 장악은 순조로울 것으로 보인다. 관심사는 4'13 총선에서 야당과 무소속 후보에게 패한 원외 조직위원장(수성갑, 북을)들의 운명이다. 수성갑은 김문수 전 경기도지사가 당협위원장직을 그대로 맡을 것이라는 관측이 많다. 하지만 대권에 뜻을 둔 김 전 지사의 향후 행보와 당협위원장 공모 여부에 따라 상황이 변할 가능성도 있다. 정순천 전 대구시의회 부의장과 이덕영 하양중앙내과 대표원장은 수성갑 당협위원장 도전의사를 밝힌 상태다.

북을의 경우 현 조직위원장인 양명모 전 대구시약사회장과 서상기 전 의원, 주성영 전 의원, 황영헌 창조경제창의교육연구소 대표 등 4파전으로 펼쳐질 가능성이 크다.

당 관계자는 "지난 4월 총선 당시 대구에서 새누리당의 정당득표율이 53.06%였으니 총선에서 패한 후보들은 모두 '당 지지율보다 현저히 낮은 득표율'을 기록한 인사들"이라고 말했다.

최신 기사