일본 정부가 24일 한일 군위안부 합의(작년 12월 28일)에 포함된 10억엔(112억원) 출연을 공식 결정함에 따라 우리 정부도 후속 대응책 마련에 본격적으로 나섰다.
지난해 한일 간 합의에 따라 우리 측에서 위안부 피해자 지원을 위한 화해'치유재단을 만들고, 이에 일본 측이 10억엔 출연을 결정함으로써 일본 측이 취할 이행조치는 마무리 수순에 들어간 것이다.
일본의 10억엔 출연이 완료되면 적어도 한일 정부 사이에서는 '외교적 현안'으로서의 위안부 문제는 '최종적, 불가역적 해결' 수순으로 가는 것이다. 1991년 고(故) 김학순 할머니가 최초로 증언에 나서면서 위안부 문제가 첫 공론화된 지 25년 만이다.
그러나 위안부 합의에 대한 반발이 여전히 커 이 문제는 앞으로도 험로가 예상된다.
위안부 강제연행을 부정하는 일본 정부의 움직임이 10억엔 출연을 계기로 본격화할 것이라는 우려도 나온다. 한일 간에는 앞으로 주한 일본대사관 앞의 위안부 소녀상 문제 이전을 둘러싸고 본격적인 갈등이 빚어질 수도 있다. 일본 측은 자신들의 이행책임인 10억엔을 출연했으니 소녀상 이전에 한국이 책임을 다하라는 압박을 본격적으로 강화할 것으로 관측된다.
그러나 우리 정부는 소녀상은 민간이 세운 것으로 우리 정부가 이래라저래라 할 수 있는 사안이 아니라는 입장이다.
연합뉴스
댓글 많은 뉴스
문재인 "정치탄압"…뇌물죄 수사검사 공수처에 고발
[전문] 한덕수, 대선 출마 "임기 3년으로 단축…개헌 완료 후 퇴임"
이준석, 전장연 성당 시위에 "사회적 약자 프레임 악용한 집단 이기주의"
대법, 이재명 '선거법 위반' 파기환송…"골프발언, 허위사실공표"
野, '피고인 대통령 당선 시 재판 중지' 법 개정 추진