수석·특검 수사, 22일 서울중앙지검 배당될 듯

입력 2016-08-21 20:19:08

檢 중립·공정성 시험대

현직 청와대 민정수석비서관과 대통령 직속 특별감찰관을 동시에 대상으로 하는 전례 없는 수사를 앞둔 검찰은 22일쯤 배당, 수사에 착수할 것으로 보인다.

애초 우병우 민정수석의 비위 의혹에 대한 수사의뢰에 초점이 맞춰졌던 이번 사건은 이석수 특별감찰관의 직무상 기밀 누설 의혹까지 불거지면서 수사를 둘러싼 관심이 증폭됐고, 정치적으로도 민감한 사안으로 떠올랐다. 이에 따라 사건 처리를 둘러싸고 검찰의 정치적 중립성과 수사의 공정성이 시험대에 오르게 됐다.

검찰 등에 따르면 김수남 검찰총장은 21일 자택에서 이 특별감찰관이 보내온 수사의뢰서 등 관련 자료를 검토하면서 사건 배당 문제를 놓고 '장고'에 들어간 것으로 전해졌다.

김 총장은 주말 내내 대검 핵심 간부들과 수시로 의견을 주고받으며 검찰의 수사 의지와 정치적 중립성이 오해받지 않을 배당 방안을 고민하는 것으로 알려졌다.

검찰 안팎에서는 이번 사건 배당이 22일 결정될 가능성이 크다는 관측에 무게가 실리는 분위기다. 오전에 국무회의가 열리고 이날 국가비상사태에 대비하는 정부 차원의 '을지연습' 훈련이 시작되는 점을 감안하면 22일 오후가 될 가능성이 높다는 관측이 나온다.

전국 최대 규모 검찰청인 서울중앙지검이 이번 사건을 맡을 것이 확실시되는 가운데 이미 우 수석 관련 사건을 맡아 수사를 진행 중인 조사1부(부장검사 이진동)에 배당될 가능성이 '0순위'로 거론된다. 인지 수사에 특화된 특수부와 각종 고소'고발 사건을 전담하는 형사부 성격을 모두 갖춘 조사부는 이미 우 수석과 관련한 여러 고소'고발 사건을 맡아 수사를 진행 중이다.

이 밖에 특정 부서에 맡기지 않고 우 수석의 비위 의혹 사건과 이 특감의 기밀 유출 의혹을 분리해 다른 부서에 맡기는 방안, 조사1부 등 특정 부서를 중심으로 수사하되 특수부 등 검사들을 지원해 특별수사팀을 꾸리는 방안 등의 '대안'도 거론된다.

연합뉴스

최신 기사