안전·배출 가스 등 우려 커져…노후 경유차는 318만대 육박
우리나라 도로를 달리는 10년 넘은 노후차가 올해 처음으로 700만 대를 넘어선 것으로 나타났다.
14일 한국자동차산업협회에 따르면 올해 상반기까지 국내에 등록된 10년 이상 된 노후차는 총 703만2천922대로 집계됐다. 국내 자동차 시장이 형성된 이래 처음으로 700만 대를 넘어섰다.
이는 국내 총등록대수 2천146만4천224대의 32.8%를 차지하는 것이다. 길거리에서 보이는 차 10대 중 3대가량은 차령 10년이 넘은 차량인 셈이다.
10년 전인 2006년만 해도 총등록대수 1천590만 대 중 노후차는 402만 대로 25.3%에 불과했다.
10년 새 노후차가 급속도로 증가한 가장 큰 이유는 국산차의 품질 수준 향상에서 찾을 수 있다.
그러나 노후차 증가 속도가 너무 빨라 차량 안전이나 배출가스 등이 사회문제화되고 있다는 지적이다.
지난 10년 동안 국내 자동차 총등록대수는 1천590만 대에서 2천146만 대로 35% 증가했지만 10년 이상 된 노후차는 같은 기간 402만 대에서 703만 대로 75% 증가해 노후차가 총등록차량 수보다 2배 이상 빠른 속도로 불어났다.
자동차 업계 전문가들은 관리가 소홀하거나 폐차 직전의 차를 끌고 도로를 달리면 '거리의 시한폭탄'이 될 수 있는 점을 우려한다. 그뿐만 아니라 노후차는 미세먼지의 주범으로 꼽히며 환경오염 이슈와도 연관돼 있다. 특히 디젤차가 눈총을 사고 있다. 환경부에 따르면 수도권 미세먼지 발생 원인의 30%는 경유차이며 이 중에서도 10년 이상 된 노후 경유차가 미치는 영향이 80%에 이른다. 경유차는 국내 전체 자동차 가운데 41%(862만 대)를 차지하고 있으며 이 중 10년 이상 된 노후 경유차는 318만 대에 달한다.
댓글 많은 뉴스
이재명 90% 득표율에 "완전히 이재명당 전락" 국힘 맹비난
권영세 "이재명 압도적 득표율, 독재국가 선거 떠올라"
[우리 아기가 태어났어요]신세계병원 덕담
'이재명 선거법' 전원합의체, 이례적 속도에…민주 "걱정된다"
"하루 32톤 사용"…윤 전 대통령 관저 수돗물 논란, 진실은?