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사설] 사드 대화 물꼬 튼 성주, 국방부가 화답해야

입력 2016-08-13 05:00:01

성주 사드 배치 문제가 새로운 전환점을 맞고 있다. 성주 사드 배치 철회투쟁위원회가 다음 주 한민구 국방부 장관과 만나기로 했다. 만남은 16일 또는 17일 성주에서 이뤄질 것으로 보인다. 한 장관은 투쟁위와 간담회를 갖고 군민들과도 대화하는 시간을 가질 것으로 보인다. 서로 평행선만 달리던 투쟁위와 국방부가 대화의 물꼬를 트게 된 것은 그나마 다행이다.

대화에 앞서 국방부는 이번 간담회가 성주 군민들의 양보에서 성사되었음을 새겨야 한다. 투쟁위가 향후 투쟁 방식을 바꾸기로 하면서 국방부에 먼저 메시지를 던진 것이다. 투쟁위는 "국방부와의 대화 단절에 대해 우려하는 주민 여론도 많다"며 앞으로도 대화 창구를 열어두겠다는 의지를 밝혔다.

성주 군민들이 대화의 문을 활짝 열었으니 국방부가 화답할 차례다. 국방부는 박근혜 대통령이 주민이 밀집한 성산포대가 아닌 '제3의 지역 검토'를 이야기했음에도 '제3의 장소는 검토대상이 아니다'는 말로 주민들을 더욱 분노케 한 바 있다. 성주군 재향군인회와 대한민국상이군경회 성주군지회, 대한민국월남전참전자회 성주군지회 등 12개 단체 회원들이 '국방부는 대통령의 재검토 지시를 즉각 이행하라'며 기자회견을 열었던 것은 시사하는 바 크다. 국방부는 성주군의 동의나 협조를 구하지 않은 채 사드 배치를 발표해 화를 불렀고, 이후 일방통행식 언행으로 화를 키웠음을 깊이 깨닫고, 이번 간담회를 통해 새로운 모습을 보여야 한다.

국방부가 주민들이 극렬하게 반대하는 사드의 성산포대 배치를 고집하고, 투쟁위가 '사드 한반도 배치 반대'만을 전제해서는 모처럼 마련된 대화의 장을 십분 활용할 수 없다. 국방부는 전자파 유해 지역 밖이라 주장하지만 전자파를 머리 위에 이고 살아야 할 대다수 성주 군민들의 불안감을 해소할 수 없다는 사실을 인정해야 한다. 그렇다고 성주 이외 지역으로 사드를 옮겨가는 것은 그간 성주 지역의 반발로 미뤄볼 때 현실적으로 불가능하다.

북핵과 미사일은 현실의 위협이다. 북한과 중국의 사드에 대한 반발이 드셀수록 사드의 유효성을 입증하는 역설이 된다. 사드 배치는 필요하고 성산포대는 안 되는 것이다. 그렇다면 답은 분명하다. 이 답을 가지고 한 장관은 주민들을 어떻게 설득하고 동의를 얻어낼지 고민해야 한다. 투쟁위 역시 주민 이익을 보호하고 국가 안보에도 기여할 방안을 모색해야 한다.

최신 기사