김상민(대구 북구 동북로)
지난겨울, 조카랑 어린이대공원에 가서 즐겁게 놀고 도시철도를 탔습니다. 기분이 들뜬 탓인지 환승할 도시철도가 들어온다는 방송을 못 들었습니다. 갈아타기 위해 서둘러 움직였는데 그때, 열차가 들어오고 있었습니다. "결아, 빨리 타자."
마음이 급하다 보니 저만 열차에 탔고 조카는 타지 못하고 문이 닫히고 말았습니다. 조카는 유치원을 다니지만 겁이 많아 돌발 상황에 잘 대처하지를 못합니다. 등에서 식은땀이 흘렀습니다. 조카에게 전화를 했습니다.
"결아, 니 옆에 어른 있지?" 물론 저는 아이 옆에 누가 있는지 알 수가 없었기 때문에, 승강장에 어른 한 명 없을까 하는 마음에 그렇게 말을 했습니다.
"삼촌이 말할 게 있으니까 우리 삼촌이에요. 하고 바꿔주렴" "예" "여보세요?" 잠시 후 어떤 아저씨의 당황한 목소리가 들렸습니다. 그분도 많이 놀랐을 겁니다. 전혀 모르는 아이가 자기 삼촌 전화를 받으라고 하니까요. 저는 애원을 했습니다. "우리 결이랑 다음 열차를 꼭 좀 타주세요. 저는 바로 한 정거장 앞에 있어요." 혹시나 애가 어떻게 될까 눈물이 쏟아졌습니다. "알겠습니다. 걱정 안 하셔도 됩니다." 그분은 떨고 있는 저를 안심시켜 주었습니다. 기다리는 5분이 5년 같았습니다. 열차에 아이가 있는 걸 보고 전동차를 타고 아이랑 함께 울었습니다. 그분께 인사를 했더니 괜찮다는 듯 미소를 보냈습니다. 더 놀라운 일이 이어졌습니다.
자리에 앉아 있던 그분이 갑자기 자리에 가방을 두고 사라졌습니다. 사람들은 "자리 양보하기 싫으니 가방을 두고 사라졌어. 꼴불견이네" "해도 해도 너무한다"라며 불평을 했습니다. 그때, 가방 주인인 그 남자분이 지팡이를 짚고 있는 할머니를 모셔 오고 있었습니다. 곧바로 가방을 바닥에 내리더니 할머니를 자신의 자리에 앉히는 겁니다. 그 광경을 보면서 평소 자리를 양보하기 싫어서 노약자를 보고도 못 본 척하고 앉아 있던 저 자신이 미워졌습니다. 그분 덕분에 고개를 돌리거나 모른 척하지 않고 자리를 양보하는 것을 자연스럽게 배웠습니다. 또 시민들 누구나가 이용하는 덕분에 도시철도가 어떤 곳보다 안전하다는 것을 몸소 알 수 있었습니다. 문득 도시철도는 센스 만점의 용기와 안전의식을 배우는 교과서라는 생각이 들어 흐뭇했습니다.
댓글 많은 뉴스
이재명 90% 득표율에 "완전히 이재명당 전락" 국힘 맹비난
권영세 "이재명 압도적 득표율, 독재국가 선거 떠올라"
이재명 "TK 2차전지·바이오 육성…신공항·울릉공항 조속 추진"
대법원, 이재명 '선거법 위반' 사건 전원합의체 회부…노태악 회피신청
이철우 "안보·입법·행정 모두 경험한 유일 후보…감동 서사로 기적 만든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