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위안부·전범재판 부정' 한 인사 각료 발탁

입력 2016-08-03 19:38:02

아베 신조(安倍晋三) 일본 총리는 3일 단행한 개각에서 문부과학상과 방위상에 '역사 수정주의' 성향의 강경 우익 인사를 발탁했다.

아베 총리는 군위안부 제도의 강제성을 부정해온 마쓰노 히로카즈(松野博一'53) 전 문부과학성 부(副)대신이 신임 문부상으로 기용했다.

현직 중의원 6선 의원인 마쓰노는 2012년 미국 뉴저지주 지역지인 '스타레저'에 '우리는 사실들을 기억한다'(Yes, We remember the facts)는 제목으로 실은 군위안부 관련 의견 광고에 아베 총리(당시 야당인 자민당 총재), 이나다 도모미(稻田朋美'57) 자민당 정무조사회장 등과 함께 이름을 올렸다.

당시 광고는 일본군 위안부가 '성노예'가 아니라는 주장과 함께 군위안부 제도의 강제성과 일본 정부 및 군의 책임을 부정하는 내용을 담았다.

또 2014년 중의원 선거를 앞두고 마이니치 신문이 실시한 설문조사에서 군위안부 제도의 강제성을 인정한 고노(河野) 담화와 일본의 식민지배와 침략을 반성하고 사죄한 무라야마(村山) 담화를 수정해야 한다는 입장을 밝혔다.

이에 따라 문부상 소관인 교과서 검정 등에서 군위안부 기술을 줄이고 강제성을 부정하려는 움직임이 더욱 강해질 수 있다는 우려가 제기될 전망이다.

아베는 또 태평양전쟁 일본인 전범들을 단죄한 극동군사재판(도쿄재판)에 대해 "법률적으로 문제가 있다"며 검증을 요구해온 이나다 도모미(중의원 4선)를 방위상으로 기용했다.

아베의 측근이자 일본 우익의 '샛별'로 꼽히는 이나다는 아베 내각에서 각료(행정개혁담당상) 신분으로 A급 전범들이 합사된 야스쿠니(靖國) 신사를 참배했으며, 난징대학살과 군위안부 문제와 관련해 일본 우익의 주장을 선두에서 대변해왔다.

이나다는 2007년 고이케 유리코(小池百合子'현 도쿄지사)에 이어 여성으로는 두 번째로 방위상이 됐다.

이번 개각은 아베 총리의 초장기 집권을 위한 안정적 정권 운영 체제를 강화하는 데 초점이 맞춰진 것으로 해석된다.

아베 총리의 잠재적 라이벌로 꼽히는 이시바 시게루(石破茂'59) 지방창생담당상은 아베로부터 농림수산상 제의를 받았지만 거절하고 내각을 떠남으로써 '차기 총리'를 향한 독자 행보를 본격화하게 됐다.

연합뉴스

최신 기사