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2 분리안' 접고, 대구공항 통합이전으로 간다

입력 2016-07-26 19:57:49

권시장·상공위원 간담회서 확정

대구시가 K2·대구공항 통합이전에 속도를 내기로 했다.

시는 군공항인 K2만 이전하고 대구공항을 그대로 두자는 일부 여론을 두고 고심했지만 최종 통합이전으로 방향을 정하고 최상의 입지 선정을 통한 통합이전에 힘을 쏟아붓기로 했다.

이는 내부적 갈등으로 이전 방향을 빨리 정하지 못할 경우 K2 이전 사업 지체는 물론 이전 자체가 어려워질 수도 있다는 우려 때문이다.

권영진 대구시장은 26일 오후 대구상공회의소 상공위원 20여명과 공항 이전 대책 관련 간담회를 가졌다.

이날 상공회의소 상공위원들과 권 시장과의 간담회에서 분리이전과 통합이전을 두고 팽팽히 맞서던 논의는 K2와 대구공항을 통합이전하는 것이 최상의 선택이라는 공감대 형성으로 마무리됐다.

이들은 ▷법 개정 및 재원 마련 등의 현실적인 문제 지적을 비롯해 ▷공항이 들어설 경북도가 K2만 받지 않겠다는 의사를 분명히 했고 ▷대구공항 존치 시 대구 성장 동력이 만들어지지 않는 등의 이유에서 분리 이전에 반대 의견을 냈다. 통합 이전해야 ▷이전터 개발에 따른 대구의 장기 발전을 모색할 수 있고 ▷이전터 개발 사업 자체만으로도 대구경북 경제를 활성화하고 지역 경기 진작에 도움이 된다는 게 이유였다.

실제 대구공항을 그대로 둔 채 K2만 이전하는 분리 이전의 문제를 지적하는 목소리가 적잖다.

K2만 이전할 경우 '군공항 이전 특별법'에 따른 기부 대 양여 방식을 포기하고 국가 재정으로 이전을 추진해야 하는 데 군공항 이전을 추진 중인 다른 도시와의 형평성이나 국가 재원 등의 문제로 분리 이전은 현실적으로 불가능하다는 것이다. 또 대구공항을 놔두고는 K2 이전터 개발을 정상적으로 할 수가 없어 이전터 개발 자체가 무산될 우려도 적잖다. 설사 K2만 이전하고 대구공항만 남는다 하더라도 군공항이 없어질 경우 이 일대 개발제한구역과 고도제한 범위가 넓어져 이전터 개발 계획에 차질이 불가피하고, K2와 대구공항 이전을 전제로 추진 중인 검단들, 안심지역 개발 등 대구 동북부 전체적인 개발 계획이 무산될 우려가 있다는 것이다.

권영진 대구시장은 "공항 이전과 관련된 시각과 인식이 제각각이면 혼란만 발생할 뿐 뜻과 힘을 모을 수가 없다"며 "시민사회 여론을 수렴해 방향이 정해지면 이를 토대로 정부와 협상하며 추진력 있게, 흔들림 없이 나가겠다"고 말했다.

최신 기사