친박-비박계 간 대결 구도 힘 빠져…"흥행요수 사라졌다" 투표율 걱정
당권 유력주자들의 잇따른 불출마 선언으로 새누리당 8'9 전당대회가 '계파 대결'서 각자도생(各自圖生) 흐름으로 급속히 바뀌고 있다.
친박계 '큰형님' 서청원 의원이 출마에 손을 가로젓자, 비박계 대항마로 떠올랐던 나경원 의원도 20일 출마를 포기했다. 나 의원은 주변에 '서청원 또는 최경환 대항마'가 아니면 전대 출마가 큰 의미가 없다는 뜻을 밝혀왔다.
'빅매치' 요소가 사라지자 그간 비박계 단일화 결속도 약해지는 분위기다. 계파 간 대결 구도에 금이 가자 당권 주자들 사이엔 각자도생 분위기가 감지되고 있다.
20일 서청원 추대 카드가 무산된 친박계는 다음 카드를 고심했지만 내놓지는 못했다.
수도권 다선인 홍문종 의원 투입설이 제기되기도 했으나, 홍 의원은 출마에 무게를 싣는 뉘앙스를 풍기면서도 공식 선언은 주저했다. 친박계 한 인사는 "여러 방향으로 고심하고 있다"고 했다.
그러는 사이 이미 출사표를 던진 당권 주자 중에 친박계가 힘을 실어줄 후보를 찾아야 하는 게 아니냐는 의견도 오간 것으로 알려졌다. 6인의 출마자 중 정통 친박계는 청와대 정무'홍보수석을 지낸 3선의 이정현 의원 정도. 5선의 이주영 의원과 4선의 한선교 의원은 중립지대로 이동 중이나 원적은 친박계다. 5선의 정병국, 3선의 김용태 의원은 반친박 성향이 강하지만 4선의 주호영 의원은 무계파로 친박계의 '포섭' 범위 안에 있다.
친박계 유력주자들이 빠지면서 흐름은 비박계가 가져왔지만, 비박계 역시 추진력엔 힘이 빠진 모양새다.
비박계에서는 정병국, 김용태 의원이 친박 패권주의 청산을 구호로 당권 도전에 나섰으나, 주 공격 대상이 무대에 오르지 않음으로써 구호에 힘을 실을 대상지가 모호해졌다.
자연스럽게 단일화도 흔들리고 있다. 비박계는 친박계 핵심 주자가 전대에 나오면 단일화로 맞서 승부를 내겠다고 별렀다.
친박-비박계 간 세대결 요소가 흐려진데다 뚜렷한 우세를 보이는 주자도 없어 판세를 읽기는 더욱 어려워졌다.
일부에서는 "흥행요소가 사라졌다"며 벌써 투표율을 걱정하는 말도 들린다.
그럼에도 서청원'최경환 의원을 상대로 "총선 패배의 책임자" 공세를 펴온 비박계 후보들이 일단은 유리한 구도에 서게 됐다는 관측이 많다. 정병국'김용태 의원은 김무성 전 대표와 오세훈 전 서울시장, 남경필 경기지사, 원희룡 제주지사 등 비박계 주요 인사들이 뒤에서 지원하고 있다. 주호영 의원도 여권의 지지 기반인 TK(대구경북) 출신인 데다 지난 총선 때 무소속으로 당선된 점 등을 들어 안방을 사수하면서 중도 성향의 지지를 끌어들인다면 승산이 있다고 보고 있다.
댓글 많은 뉴스
권영세 "이재명 압도적 득표율, 독재국가 선거 떠올라"
이재명 90% 득표율에 "완전히 이재명당 전락" 국힘 맹비난
이재명 "TK 2차전지·바이오 육성…신공항·울릉공항 조속 추진"
전광훈 "대선 출마하겠다"…서울 도심 곳곳은 '윤 어게인'
이재명, 민주당 충청 경선서 88.15%로 압승…김동연 2위