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사설] 성주 군민의 분노 이해하지만 폭력 사태는 안 돼

입력 2016-07-17 21:22:52

15일 성주를 방문한 황교안 국무총리 일행이 6시간여 동안 버스에 갇혀 있다 피신하는 장면이 전국에 생중계됐다. TV를 지켜본 국민들은 성주 읍내가 전쟁터처럼 변한 것이 아닌가 하고 오해할 정도였다. 사드 배치의 부당성을 주장하는 성주 군민의 심정은 충분히 이해하지만, 폭력 사태만큼은 반드시 막았어야 했다.

이날 황 총리는 수첩을 빼앗겼고, 한민구 국방장관은 윗도리가 벗겨지는 봉변을 당했다. 조희현 경북경찰청장은 물병에 맞아 이마가 찢어졌다. 중요한 대목은 고위 공무원들이 봉변당하고, 다친 것이 아니다. 이를 빌미로 경찰이 곧바로 수사에 나서겠다고 한 점이다. 계란, 물병을 투척하거나 몸싸움을 벌인 사람에 대해 사법 처리를 하겠다는 것이다. 폭력 사태가 성주 군민들의 정당한 목소리를 희석시키거나 가로막는 악재가 될 가능성이 높다.

처음에 군민들은 이 정도로 사태가 커질 줄 몰랐을 것이다. 일부 군민들은 외부 세력이 개입해 폭력 사태를 키웠다고 주장하지만, 사후약방문(死後藥方文) 격이다. 일부 외부 세력이 계란'물병을 투척하기 시작하면서 주민들을 선동했다는 얘기도 나왔다. 아마 맞는 말일 것이다. 시위 주최 측은 외부 세력 개입을 염두에 두고, 주민들과 차단하는 일부터 했어야 하는데 그렇게 하지 못했다.

폭력이나 과격한 방법으로는 사드 배치 문제를 해결할 수 없다. 주민들은 화가 나 계란'물병을 던졌겠지만, 공권력은 사법 처리나 법을 앞세워 주민 목소리를 잠재우려고 하지 않는가. 폭력은 정부가 성주에 사드 배치를 강행할 수 있는 빌미만 제공할 뿐이지, 문제 해결에 도움이 되지 않는다.

성주 군민들도 이제 폭력 사태의 폐해를 인식한 분위기다. '성주 사드 배치 저지 투쟁위원회' 관계자는 "앞으로는 폭력 사태가 일어나지 않을 것"이라고 다짐했다. 누구나 자신의 마을에 이른바 '기피 시설'이 들어오고 건강'농사에 영향을 미칠 수 있다고 한다면 반대하는 목소리를 낼 것이다. 성주 군민들의 주장과 호소는 당연하고 정당한 권리다. 그렇더라도 모든 행동과 수단은 합법적인 테두리에서 행해져야 한다. 더는 폭력적인 방법을 써서는 안 된다.

최신 기사