대선 경선에서 16명의 경쟁자를 차례로 무찌르며 '아웃사이더 돌풍'을 일으켜 온 미국 공화당의 도널드 트럼프를 대선후보로 선출하는 전당대회가 17일(현지시간) 마침내 하루 앞으로 다가왔다.
미 공화당은 18일부터 나흘간 오하이오주 클리블랜드에 있는 농구경기장'퀴큰론스 아레나'에서 전대를 개최하고 경선에서 승리한 트럼프를 당 대선후보로 공식 선출한다.
전대가 열리는 오하이오주는 이번 대선의 최대 어젠다로 떠오른'무역협정'이슈를 상징하는'러스트 벨트'(Rust Belt'쇠락한 공업지대)의 대표지역이자 3대'스윙스테이트'(경합주), 즉 승부처로 꼽힌다.
1964년 이후 오하이오주에서 승리하지 못한 대선후보가 백악관의 주인이 된 경우는 없었다. 공화당에 이어 민주당도 일주일 뒤인 오는 25∼28일 펜실베이니아주 필라델피아에서 전대를 열어 힐러리 클린턴 전 국무장관을 대선후보로 선출해, 트럼프와 오는 11월 8일 대권을 향한'세기의 대결'을 펼친다.
두 후보는 전대 직후부터 전국을 누비는 본선 선거유세에 나서며 9월 26일과 10월 9일, 10월 19일 등 3차례에 걸쳐 TV토론을 벌인다.'운명의 날'인 11월 8일 50개 주와 워싱턴D.C에서 선출된 538명의 선거인단 투표가 실시되며 이 투표에서 과반인 270명을 확보한 후보가 최종 승자가 된다.
현재 판세는 클린턴 전 장관의 우위 구도가 다소 허물어지면서 전국단위 지지율이나 스윙스테이트에서 격차가 급격히 좁혀지는 양상이다. 그러나 공화당 전대는 미국을 뒤흔들었던 경선 레이스만큼이나'파란'의 무대가 될 가능성이 고조되고 있다.
'트럼프 대관식'을 치르는 축제의 마당이나 화합의 잔치가 되기보다는 트럼프 지지, 반대파 간 충돌의 현장 내지는 총격과 폭동의 아수라장이 될 수 있다는 우려가 제기되고 있어서다.
또한 공화당의 간판격인 조지 부시 전 대통령 부자를 비롯해 4년 전 대선후보였던 밋 롬니 매사추세츠 주지사, 당연직 상원의원들과 일부 주지사 등 거물급 인사들이 줄줄이 불참 의사를 밝히는 등 아웃사이더이자 인종차별 논란을 빚은 트럼프 후보 선출에 대놓고 반대입장을 밝히고 있다.
공화당은 나흘간의 전대 기간에 '보호무역'을 골자로 한 일자리 창출과 멕시코 국경에 장벽 설치, 무슬림 입국제한 등 트럼프의 선거공약을 대폭 수용한 정강을 채택하는 한편 마지막 날인 21일 트럼프의 대선후보 수락연설을 듣는다.
공화당 주류 중 주류로 꼽히는 마이크 펜스 인디애나 주지사를 부통령 러닝메이트로 선택한 트럼프는 수락연설에서 '미국을 다시 위대하게'(Make America great again)라는 대선 슬로건을 핵심으로 한 정권 탈환 계획을 밝힐 예정이다.
(연합뉴스)
댓글 많은 뉴스
이재명 90% 득표율에 "완전히 이재명당 전락" 국힘 맹비난
권영세 "이재명 압도적 득표율, 독재국가 선거 떠올라"
[우리 아기가 태어났어요]신세계병원 덕담
"하루 32톤 사용"…윤 전 대통령 관저 수돗물 논란, 진실은?
'이재명 선거법' 전원합의체, 이례적 속도에…민주 "걱정된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