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사설] 정부는 성난 성주 군민 납득할 대책 마련해 내놔야 한다

입력 2016-07-14 20:41:38

정부가 13일 경북 성주군 성주읍 성산리 공군부대 부지를 사드 배치 지역으로 확정 발표하자 성주 군민들이 반발하고 있다. 전자파 피해 우려는 물론 국민들이 성주를 부정적으로 바라볼지도 모르는 잘못된 시각 등 사드 배치가 몰고올 예측할 수 없는 후폭풍에 대한 걱정이 커서다. 주민 5천여 명이 이날 성밖 숲에서 한낮 30℃ 무더위 속에서 범군민 궐기대회를 가질만하다.

성주는 오랫동안 청정 이미지를 다지기 위해 깨끗한 농촌 만들기에 정성을 들였다. 2012년부터 의욕적으로 추진해 이제 제2의 새마을운동으로까지 키우려던 '클린 성주 만들기'도 그런 배경에서다. 조선조 세종대왕의 여러 아들 태실(胎室)이 있는 인문지리적 특징에 맞춰 해마다 생명축제를 개최하는 것도 같은 맥락이다.

이런 청정 농촌 환경과 함께 성주는 전국 제1의 참외 생산지로 자리 잡은 지 오래다. 매년 16만~17만t의 참외를 생산해 전국 생산량의 70%를 차지한다. 연간 농가 소득도 4천억원이 넘는다. 3년 전부터는 해외 수출길까지 텄다. 성주 참외가 바야흐로 국경을 넘어 해마다 160~200t씩 수출돼 외국인 입맛을 유혹하며 미약하지만 농산물의 해외시장 활로 개척에 나름의 역할을 하고 있는 셈이다.

사드 배치는 다른 부정적 영향과 청정 농촌 성주라는 이미지 훼손 우려 못지않게 생산 농산물에 미칠 파장도 무시할 수 없다. 자칫 국내 명성을 바탕으로 나라 밖으로 막 진출하기 시작한 성주 참외 브랜드의 가치마저 떨어뜨릴 가능성도 배제할 수 없게 됐다. 그럴 경우 이는 곧바로 판로 위축으로 이어질 것이고 주민 생존권과 직결된다. 김항곤 군수를 비롯해 이날 궐기대회 참가 주민 대표들이 사드 반대 혈서도 마다하지 않은 까닭이다.

성주 군수와 주민들이 정부의 사드 배치와 관련, 대구공항과 K2공군기지의 성주 이전과 같은 적정 보상 요구는 충분히 수긍할 수 있는 부분이다. 대구경북 국회의원 25명 중 21명이 이날 공동 성명과 함께 대책을 촉구하고 나선 것도 이해할 수 있다. 이제는 정부가 주민들의 절박한 외침에 귀를 기울여 이해할만한 결과를 내놓을 차례다.

최신 기사