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대구 숙원 해결" 얼어붙은 민심 녹인 박 대통령

입력 2016-07-12 19:40:04

대구시·국방부 K2 이전 협상 가속도…대권 앞두고 정권 재창출 위해 결심

박근혜 대통령이 대구공항과 K2공군기지를 한 묶음으로 해 이전하는 방안을 최종 확정 지음으로써 영남권 신공항 무산으로 이반된 지역 민심 보듬기에 나섰다.

박 대통령의 대구공항 통합이전 방침에 따라 그동안 K2 이전과 관련해 대구시와 국방부가 오랫동안 끌어온 협상에 가속도가 붙게 됐고, 이럴 경우 수십 년 동안 개발제한과 소음으로 고통받아온 대구시민들의 숙원이 해결되는 셈이다.

박 대통령은 11일 청와대에서 수석비서관회의를 주재하면서 대구공항과 K2의 통합이전에 대해 상당한 시간을 할애해 설명했다. 특히 "영남권 신공항 입지가 김해 신공항 건설로 결정됨으로써 현재 군과 민간이 함께 운용하고 있는 대구공항 이전 추진이 일시 중단된 것으로 안다"고 말해 김해공항 확장으로 대구공항과 K2 이전이 무산 위기에 빠진 상황을 구체적으로 언급했다. 이는 영남권 신공항 무산에 따라 극도로 악화된 대구경북의 민심을 의식한 발언이자, 여기에 대한 대응책 차원의 발표로 읽힌다.

또 내년 대선을 앞두고 정권 재창출을 위해서는 민심 이반이 확산되고 있는 대구경북을 다독여야 할 필요성도 영향을 미친 것으로 정치권은 분석하고 있다.

그동안 영남권 신공항이 이전하면 대구공항은 그곳으로 옮기고, K2는 대구시와 국방부 간 '기부 대 양여' 방식으로 이전하는 방안에 상당한 접점을 찾아온 터라 영남권 신공항 무산에 따라 대구공항은 물론 K2 이전이 물거품이 될 상황이었다.

하지만 박 대통령의 통합이전 방침에 따라 대구공항과 K2를 대구 인접 경북 지역으로 옮겨 건설할 경우 수십 년째 전투기 소음과 개발제한으로 고통받아온 대구 시민과 인구 감소로 활력이 떨어지고 있는 경북 중부권 주민들의 숙원이 한꺼번에 해결되는 셈이다. 특히 대구시가 기존 대구공항과 K2(약 6.6㎢) 이전터에 대해 장기적인 발전 플랜을 갖고 개발할 경우 인근 동구 혁신도시, 동대구역사 등과 연계해 대구 발전의 새로운 모멘텀이 될 가능성도 높다.

청와대 한 관계자는 "대구공항 통합이전은 우리 정부가 결정하지만, 사드 배치는 미군과 국방부가 협의한 사안이기 때문에 두 사안을 함께 묶어서 바라봐서는 안 된다"며 "아무튼 대구공항 통합이전은 대구경북민들의 숙원을 해결하는 차원"이라고 말했다.

최신 기사