상가 600여 곳 중 10%만 문 열어, 부족한 대중교통·주차공간 한몫
8일 오후 대구 동구 신서혁신도시 새론중학교 맞은편. 상가주택이 도로를 따라 늘어서 있었지만 대부분 비어 있었다. 1층 상가 유리창에는 임대를 알리는 종이와 현수막이 붙어 있었다. 그나마 영업을 하고 있는 식당에도 10여 개 테이블 중 손님은 한 명뿐이었다. 주인은 종업원도 없이 혼자 일하고 있었다. 그는 "어제는 하루 종일 한 팀밖에 안 왔다. 인근 공공기관 직원을 상대로 한 점심 장사가 안 되면 그날은 공치는 것이다"고 말했다.
신서혁신도시 공공기관 입주가 지난해 말 마무리됐지만 주변 상권은 여전히 활성화되지 못한 채 신음하고 있다. 교통이 불편해 유동인구가 적은 데다 주차공간마저 부족한 탓이다.
신서혁신도시에는 11개 기관에 직원 3천여 명이 일하고 있다. 올해 3월 기준 인구는 8천412명으로 계획 인구 2만2천215명의 37.8% 수준에 이르고 있다. 대구시는 아파트 공급이 마무리되는 2019년에는 계획 인구에 도달할 것으로 추정하고 있다.
하지만 상권은 좀처럼 활성화되지 못하고 있다. 부동산 업계에 따르면 상가 1천여 곳 중 실제 영업을 하고 있는 곳은 절반에도 미치지 못한다. 한 부동산 중개인은 "상가주택만 600여 곳에 달하는데 문을 연 곳은 10%도 안 될 것"이라면서 "상업지구는 사정이 낫지만 그나마도 절반 이상 비었다"고 말했다.
상인들은 교통 불편부터 해결해야 한다고 입을 모았다. 시내버스는 2개 노선이 운행 중이나 배차 간격이 각각 11분, 15분으로 한 대만 놓쳐도 20분 넘게 기다려야 한다. 또 도시철도 1호선 안심역과 각산역은 가까운 곳이 600m나 떨어져 있다. 한 편의점 주인은 "밤에는 손님이 없어 11시면 문을 닫는다"면서 "주말에는 오가는 사람을 거의 볼 수 없을 정도"라고 말했다.
주차공간도 부족하다. 한국감정원 건너편 상가에는 평일 낮 시간에도 도로변을 따라 이중 주차가 일반화돼 있다. 한 부동산 중개인은 "오전 10시만 넘어도 다른 차가 빠질 때까지 기다려야 주차가 가능하다. 임시 주차장은 거리가 멀어 무용지물이다"고 말했다. 또 "계획도시가 주차 공간이 부족하다는 게 상식적으로 이해가 되지 않는다"고 꼬집었다.
상인들은 입주 기관과의 상생 방안이 시급하다는 입장이다. 한 식당 주인은 "개발 초기엔 공공기관 이전만 완료되면 대박 날 것이라는 기대 심리가 넘쳤는데 현실은 완전 달랐다"면서 "직원들 상당수가 구내식당을 이용하고 퇴근 후 회식도 각산역 먹자골목으로 간다"고 말했다. 금요일 오후 대절버스를 타고 서울로 퇴근하는 직원도 여전한 상황이다.
대구시 관계자는 "아직 계획 인구 달성 전이라 빈 상가가 많다"면서 "상권 활성화를 위해 공영주차장 약 100면을 만들 계획이며 상인 요구 중 가능한 방안은 검토해 보겠다"고 말했다.
댓글 많은 뉴스
문재인 "정치탄압"…뇌물죄 수사검사 공수처에 고발
[전문] 한덕수, 대선 출마 "임기 3년으로 단축…개헌 완료 후 퇴임"
대법, 이재명 '선거법 위반' 파기환송…"골프발언, 허위사실공표"
野, '피고인 대통령 당선 시 재판 중지' 법 개정 추진
'어대명' 굳힐까, 발목 잡힐까…5월 1일 이재명 '운명의 날'