사드 결정 직후…中, 한·미 대사 긴급 초치 항의

입력 2016-07-08 19:10:34

한미 양국의 고고도 미사일 방어체계(THAAD'사드) 배치 결정에 따라 그동안 이에 반대해온 중국의 대응이 주목된다.

중국 외교부는 8일 한미 양국의 사드 배치 발표 후 곧바로 홈페이지에 '강렬한 불만과 단호한 반대' 입장을 담은 '외교부 성명'을 게재했다.

또 성명 발표 직후 김장수 주중 한국대사와 맥스 보커스 주중 미국대사를 중국 외교부로 불러 한미 당국의 이번 사드 배치 결정에 강력히 항의한 것으로 알려졌다.

◆중러 "동북아 전략균형 파괴"

한미는 사드에 대해 "어떤 제3국도 지향하지 않을 것"이라고 밝혔지만, 중국과 러시아는 사드가 미국의 글로벌미사일방어(MD) 시스템의 '한 축'이 될 것으로 보고 있다.

중국 공산당 기관지 인민일보(人民日報) 해외판이 운영하는 소셜미디어 매체인 '협객도'(俠客島)는 '동유럽판 MD'를 완성한 미국이 '동아시아판 MD'까지 완성하면 "지역의 공격과 방어의 전략적 균형은 아마도 철저하게 파괴될 것"이라며 이는 동북아시아판 북대서양조약기구(NATO) 탄생으로 이어진다고 분석했다.

하지만 중국 내에 이런 우려의 시각만 있는 것은 아니다.

자오퉁(趙通) 칭화(淸華)대-카네기 세계정책센터 연구원은 지난 4월 홍콩 사우스차이나모닝포스트(SCMP)에 '중국은 사드 배치를 두려워해서는 안 된다'는 제목의 기고문을 통해 "북한의 중거리 및 준중거리 미사일 공격을 차단하기 위해 사드를 배치한다는 한국의 주장이 타당하다"고 말했다.

그는 "사드 레이더를 보는 중국 전문가들의 우려엔 근거가 없다"면서 "중국의 대륙 간 탄도미사일(ICBM) 증강은 미국 미사일의 방어체제를 뚫기 위한 것으로 사드 레이더가 중국의 대미 타격 능력에 대해 갖는 영향은 매우 제한적"이라고 지적했다.

그러면서 중국의 ICBM이 대부분 사드 레이더 범위인 동북지역이 아닌 다른 지역에 넓게 산재해 있고 중국의 핵미사일 탑재 잠수함도 대부분 사드 레이더가 미치지 못하는 남중국해에 배치돼 있다는 것이다.

◆전방위 공세'군사적 압박 가능성

사드가 실제 배치되기까지는 적잖은 시간이 소요될 수밖에 없는 만큼 중국은 일단 사드 배치를 중단'지연시키기 위해 한미를 상대로 전방위적인 공세외교를 전개할 것으로 관측된다.

하지만 남중국해 영유권 문제 등 미국과 갈등을 빚고 있는 다른 현안들이 산적한 상황에서 중국이 사드 문제 하나에 집중해 한국과 미국 모두에 등을 돌리기는 전략적으로 쉽지 않다.

중국이 안보전략 차원에서 한국에 공을 들여왔던 것을 고려하면 사드 문제를 빌미로 한국에 등을 돌릴 경우 그간의 노력이 모두 수포로 돌아갈 수 있다는 점을 인지하고 있을 것으로 보인다.

특히 북한의 핵실험에 따른 국제사회의 대북제재가 진행되고 있는 상황에서 사드 문제로 인해 중국이 대북제재에서 발을 빼는 것은 '책임 있는 대국'을 지향해 온 중국의 모양이 크게 빠진다.

그러나 사드 배치가 이미 본격 궤도에 오른 만큼 중국이 이에 대응한 구체적인 조치를 검토하고 있을 가능성은 염두에 둘 필요가 있다.

가장 주목되는 것 역시 군사적 대응조치다. 협객도는 지난 2월 분석기사에서 한반도에 사드가 배치되면 "당연히 인민해방군의 전략적 고려 대상과 전술적 범위에 포함될 수밖에 없다"며 한국 내 사드 기지 등이 중국군의 우선적 공격목표 대상이 될 수 있다고 경고했다.

연합뉴스

최신 기사