정부가 영남권 신공항 용역 결과와 관련, 근거 없는 말을 쏟아내고 있다.
'영남권 신공항 백지화'에 대한 대구시와 경북도, 지역 국회의원들의 공격이 집중되면서, 김해공항 확장안에 대해 해당 지자체에 사전 고지했다거나 대구공항 존치 문제에 대해 언급한 적이 없다는 등 터무니없는 주장을 이어가고 있다.
대구시와 경북도 관계자는 "정부가 영남권 신공항 대신 김해공항 확장안을 제시한 뒤 대구경북의 반발을 의식해 책임 없는 발언을 이어가고 있다"며 "영남권 신공항은 물론 대구경북에 대한 깊은 고려가 없다는 것을 방증하는 처사"라고 주장했다.
◆김해공항 확장안, 5개 시도 알고 있었다?
정부는 '김해공항 확장안을 영남권 5개 시도가 알고 있었다'는 주장을 펴고 있다. 5월 말 진행된 지역 전문가 자문회의 때 얘기했다는 게 그 근거다. 질의응답 시간에 한 참석자의 '밀양과 가덕도 외 다른 후보지도 있느냐'는 질문에 파리공항공단엔지니어링(ADPi)이 '3~5곳 정도 검토하고 있다'고 답했고, '김해공항도 있느냐'는 추가 질문에 '그렇다'고 대답한 걸 근거로 제시하고 있다.
그러나 실제 전문가 자문회의 당시, 밀양이나 가덕도 외 김해공항 관련해선 어떤 자문이나 설명도 없었고, ADPi의 설명자료에도 밀양과 가덕도에 대한 설명과 도면만 있을 뿐 김해공항이라는 말조차 찾아볼 수 없다.
대구시'경북도 관계자는 "밀양과 가덕도만 두고 자문회의를 했고 김해공항 언급도 먼저 설명한 것이 아니라 여러 질문 중 하나로 물었고 짧게 답변한 것이 전부여서 누구라도 '밀양 아니면 가덕도'라고 생각할 수밖에 없는 분위기였다"고 했다.
◆대구공항 존치 얘기한 적 없다?
최정호 국토부 제2차관은 4일 대구를 찾아 "ADPi가 용역 결과를 발표할 당시 대구에 민간 항공수요가 200만 명 이상 있다고 언급했을 뿐 대구공항을 현위치에 존치시키겠다고 밝힌 것이 아니다. 지역민들이 대구공항을 존치한다고 발표한 것으로 알고 있는데 오해가 있었던 것 같다"고 했다.
그런데 이 역시 앞뒤가 맞지 않다. 당시 ADPi가 발표한 발표문에 '김해공항을 확장하는 경우에는 대구공항을 계속해서 운영한다는 것을 전제로 한다. 그래서 4천만 명이 아니라 3천800만 명의 수요를 예상했다'고 분명히 밝히고 있다. 영남권 신공항 용역 책임자 장 마리 슈발리에가 브리핑한 내용을 국토부 차관이 이제 와서 '안 했다'고 주장하고 있는 것이다.
◆김해공항 확장이 아닌 김해 신공항이다?
지난달 21일 영남권 신공항 용역 결과 발표 당시 ADPi가 내놓은 결론은 '김해공항 확장안'이었다. 용역 책임자 슈발리에의 '김해공항 확장안' 발표에 이어 강호인 국토부 장관도 '현재의 김해공항을 확장하는 방안이 최적의 대안'이라며 김해공항 확장안을 내놨다. 당시 국토부가 언론사에 배포한 보도자료에도 '김해공항 확장안'으로 명시돼 있다. 그런데 발표 후 갑자기 김해공항 확장안이 김해 신공항으로 둔갑했고, 정부도 당당해지기 시작했다. 김해공항 확장안을 수용해 달라며 애원하던 정부가 갑자기 '이게 바로 영남권 신공항'이라며 신공항이 결정됐음을 주장하기 때문이다.
◆5개 시도지사, 용역 결과 수용 합의 지켜라
황교안 국무총리는 4일 국회에서 열린 대정부질문에서 "5개 시도지사가 모여 어떤 결론이 나오든 수용하자고 했고 그 합의를 바탕으로 결정했다"고 밝혔다. 강호인 국토교통부 장관도 지난달 21일 용역 결과 발표문을 통해 "외국 전문기관에 일임하고 그 결과를 수용한다는 합의를 도출했다"고 했다. 그러나 이는 '거짓말'이다. 지난해 1월 영남권 5개 시도지사가 모여 합의한 뒤 낸 공동성명서엔 '결과를 수용하겠다'는 문구가 없다.
대구시와 경북도 관계자는 "국무총리, 국토교통부 장관 등이 분란을 자초한 신공항 사태를 빨리 덮기 위해 근거도 없는 거짓말을 계속 이어가고 있다"며 "대구경북을 비롯한 영남권 주민의 자존심을 무너뜨리는 행위"라고 지적했다.
댓글 많은 뉴스
이재명 90% 득표율에 "완전히 이재명당 전락" 국힘 맹비난
권영세 "이재명 압도적 득표율, 독재국가 선거 떠올라"
이재명 "TK 2차전지·바이오 육성…신공항·울릉공항 조속 추진"
대법원, 이재명 '선거법 위반' 사건 전원합의체 회부…노태악 회피신청
국정원, 中 업체 매일신문 등 국내 언론사 도용 가짜 사이트 포착