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사설] 부산의 가덕도 신공항 독자 추진, 용납할 수 없다

입력 2016-06-26 20:44:54

정부의 김해공항 확장 발표에도 부산이 가덕도 신공항을 재추진하고 있다. 이는 밀양 신공항을 지지한 대구 경북 경남 울산 등 영남권 4개 시도를 무시하는 행위일 뿐 아니라 정부의 결정이 얼마나 잘못됐는지를 보여주는 방증이다.

서병수 부산시장은 21일 정부의 발표 직후 "가덕도 신공항을 안전하고 24시간 운영 가능한 제2허브공항으로 만들겠다"고 했다. 가덕도 신공항 유치를 주도한 부산상공회의소 조성제 회장은 가덕도 신공항 재추진 의지를 분명히 했고, 새누리당'더불어민주당 부산 의원 등도 재추진하겠다고 밝혔다.

부산 지역 경제계'정계 인사들이 모두 입을 맞춘 듯 신공항 재추진을 주장한 것은 부산이 지금까지 유지해온 유치 전략의 일환이다. 유치 경쟁 과정에서 '가덕도 아니면 백지화'를 주장한 부산의 요구가 정부의 신공항 백지화 및 김해공항 확장 결정으로 상당 부분 먹혀들었기 때문이다. 부산지역 인사들은 현 정부에서 신공항을 백지화시키고 차기 정권에서 승부수를 거는 전략에 따라 신공항 재추진 목소리를 일제히 내고 있는 것이다.

부산이 자신의 행정구역에 속한 김해공항 확장을 반기지 않고 가덕도 신공항을 재추진하려는 이유는 여러 가지다. 김해공항 확장에 V자 활주로 등 새로운 아이디어가 나왔다고는 하지만, 부산은 주변의 도시계획, 짧은 활주로 길이, 중대형 국제선 취항 여부, 개발 가능성 등에 미뤄 제2의 관문공항 기능을 수행할 수 없다고 여긴다. 그렇기에 정부의 김해공항 확장안이 미봉책에 불과한 것이며 부산이 가덕도 신공항을 재추진할 수 있는 바탕을 깔아주는 어리석은 선택이라고 비난받는 것이다.

그렇더라도, 부산이 신공항을 독자적으로 추진하는 것은 용납할 수 없는 일이다. 제2 관문공항은 지역이기주의의 독점물이 아니라, 영남권 주민 모두의 이익과 편의에 따라 결정되어야 한다. 다시 한 번 영남권 전체에서 신공항 추진 운동을 벌여나가야 할 것이다. 이와 함께 부산 지역과는 달리, 정부 발표 이후 아무런 대책을 내놓지 못하는 대구경북지역 인사들은 반성하는 계기로 삼아야 한다.

최신 기사