부산 "가덕도 독자 추진" 공식 선언

입력 2016-06-23 20:21:53

"24시간 운영 제2 허브공항 건설" 서병수 김해 확장 발표 후 밝혀

부산이 가덕도 신공항 재추진에 나섰다.

정부의 영남권 신공항 백지화와 김해공항 확장 발표 이후 부산에서는 김해공항이 가진 한계를 극복하기 위해서는 가덕 신공항을 독자 추진해야 한다는 주장이 잇따르고 있다.

'밀양 신공항 백지화' 이후 '김해공항 존치와 가덕 신공항 추진'이란 복선을 깔고 '신공항 불복 운동'을 폈던 부산의 전략이 드러나고 있는 셈이다. 하지만 대구경북은 신공항 백지화 이후 뚜렷한 대책이 없어 비교된다.

정부의 김해공항 확장 발표 이후 서병수 부산시장은 곧바로 "안전하고 24시간 운영 가능한 제2허브공항으로 가덕 신공항을 만들 수 있도록 전력을 다하겠다"며 신공항 재추진 의사를 피력했다.

가덕 신공항 유치를 이끌어 온 부산상공회의소 조성제 회장도 "가덕 신공항을 계속 추진해나가겠다"고 밝혔고, 새누리당 김정훈 의원도 "중장거리 국제노선 화물선을 위해 가덕 신공항을 지속적으로 추진하는 게 필요하다"고 말했다. 김영춘 등 더불어민주당 소속 부산 의원 5명은 21일 국회서 기자회견을 열고 "진상조사단을 구성해 가덕 신공항을 재추진하겠다"고 나섰다.

부산시를 비롯한 정치권과 상공계가 공식적으로 가덕 신공항 재추진에 나선 것이다.

가덕 신공항 재추진 방식에 있어 부산시는 민자 유치를 통해 해결하겠다는 입장이다. 김해공항 수요가 급증하고 있어 공항 건설을 위한 민자 유치가 가능하다는 것이 부산시의 판단이다.

하지만 '민자 독자 추진'의 이면에는 일단 판을 벌인 뒤 정부 지원을 받겠다는 속내가 깔려 있다는 것이 정치권의 분석이다.

가덕 공항 건설을 위해서는 활주로 건설비뿐 아니라 수조원이 투입되는 연결 도로와 철도망 건설이 필수적이고 이 비용은 결국 국비 지원을 통해야 조달이 가능할 것으로 예상되기 때문이다.

대구경북 정치권 관계자들은 "영남권 타 시도의 입장을 고려할 때 부산이 지난 대선처럼 내년에 치러지는 대선에서 가덕 신공항 건설을 요구하기는 쉽지 않을 것"이라며 "일단 민자 유치 방식을 통해 독자 공항 건설을 추진한 뒤 정부의 지원을 받는다는 전략을 갖고 있을 것"이라고 밝혔다.

최신 기사