靑 "공약 파기 아니다…김해공항 확장이 신공항"

입력 2016-06-22 20:19:40

박 대통령, 평통 해외 자문위원 간담회서 주장

박근혜정부가 22일 영남권 신공항 백지화를 두고 '신공항 공약 파기'가 아니며 '김해공항 확장이 곧 신공항'이라는 입장을 강변해 지역민을 두 번 우롱하는 처사라는 비판이 쏟아지고 있다.

박근혜 대통령은 이날 청와대에서 가진 민주평화통일자문회의 해외 자문위원들과의 간담회에서 "앞으로 정부는 김해 신공항 건설이 국민들의 축하 속에서 성공적으로 이뤄지도록 최선을 다할 것"이라고 밝혔다. 박 대통령은 김해공항 확장이 곧 신공항이라는 입장을 나타낸 셈이다.

이에 앞서 정연국 청와대 대변인도 영남권 신공항 공약 파기에 대해 "신공항 공약 파기에 동의하지 않는다"며 "김해공항 확장은 사실상 신공항으로, 영남권 신공항이 김해공항 신공항이 되는 것"이라고 말했다.

하지만 신공항 논의 자체가 김해공항 확장 불가에서 출발한 데다, 박 대통령이 2012년 영남권 신공항 건설을 대선 공약으로 내걸었다는 점에서 공항 확장이 신공항이라는 정부 입장은 자가당착이라는 비판이 쏟아지고 있다.

김해공항 확장은 2006년부터 지금까지 수차례 정부 조사에서 안전성, 소음, 실효성 등의 면에서 영남권의 제2관문 또는 허브공항으로 역할하기에 불가능하다고 밝혀졌다.

유승민 새누리당 의원은 "김해공항 확장은 공항 확장일 뿐"이라며 "그동안 신공항의 전제가 김해공항을 확장해서는 영남권의 허브공항으로 불가능하다고 정부가 판단한 것인데, 이제 와서 그 판단을 뒤집고 가능하다고 하니 납득하기 어렵다"고 말했다. 또 "오늘 영남 중진의원들이 원내대표실에서 국토부 차관에게 정부가 김해공항 확장이 불가능하다고 한 판단을 갑자기 뒤바꾼 이유를 물으니, 제대로 설명을 하지 못했다"고 비판했다.

조원진 새누리당 의원도 "10여 년 이상 김해공항 확장이 불가하다고 하다가 갑자기 확장이 가능하고, 소음문제도 없다고 하니 어찌 믿을 수 있겠나"며 "제2관문공항으로서의 역할 가능성 등 신공항에 합당한 조건에 대한 분명하고 객관적인 결과가 나오기까지 김해공항 확장안을 수용할 수 없다"고 말했다.

최신 기사