월 1회 현장경제 교육·일대일 맞춤형 재무설계 컨설팅
"많이 버는 것보다 잘 쓰는 게 더 중요하다는 걸 배웠어요."
17일 오후 안동지역자활센터에서 열린 경제 교육에 참가한 임철순(55) 씨는 이번 교육이 자신의 경제관념을 되돌아보는 소중한 기회가 됐다고 한다. 이날은 안동지역자활센터가 올해 초부터 매달 1회씩 저소득층을 대상으로 '나도 잘살 수 있다'라는 주제로 운영하는 경제와 금융에 대한 교육이 열린 날이었다. 소비나 저축 경험이 적은 저소득층과 장년층 가장에게 금융 지식 격차를 좁히자는 취지다.
20대부터 60대까지 수강생 22명은 강의 내용을 하나라도 놓치지 않으려고 해 교육장의 열기는 뜨거웠다. 이날 교육은 매년 변하는 나와 가족의 경제곡선을 그려보고 토론하는 등 지루하지 않게 참여형 교육이 진행돼 강의실 분위기 또한 화기애애했다.
10년 뒤 웹디자이너가 되는 게 목표인 수강생 김수미(23) 씨는 경제곡선을 그리며 매년 저축 계획도 세웠다. 그러나 평가에서 갑작스러운 사고에 취약하다는 지적을 받았다. 저축은 꾸준히 계획했지만, 보험이나 펀드 가입이 전혀 돼 있지 않았기 때문이다.
김 씨는 "무조건 아끼고 저축하면 좋은 줄 알았는데 투자와 보험 가입, 소비를 적절히 하는 게 중요하다는 걸 알게 됐다"며 고개를 끄덕였다.
박정용 경제 강사는 "투자에 대해 배울 기회가 적은 가장들은 균형 잡힌 경제활동을 하기 어려워 자식에게도 부모의 소득격차가 대물림되는 원인이 될 수 있다"며 "단순히 이렇게 하면 돈을 많이 벌 수 있다는 기존의 경제교육이 아니라 저소득층이 느낄 수 있도록 500원, 1천원을 아끼는 법을 가르치는 걸 목표로 하고 있다"고 했다.
경제교육과 함께 4시간의 수업시간 동안 일대일 맞춤형 재무설계도 함께 이뤄졌다. 개별적인 상담을 통해 개인 소비 성향과 부채, 저축 상황을 파악한 후 매달 지급되는 자활급여(85만원)로 계획적인 소비가 가능하도록 한 것.
박선애 안동지역자활센터장은 "이 프로그램은 참여 주민에게 물고기를 잡아 주는 게 아니라 잡는 법을 스스로 깨닫게 하는 게 목표"라면서 "어려운 살림일수록 경제 개념에 대한 인식 개선과 현명한 소비자가 되어 '나도 잘살 수 있다'는 희망을 품길 기대한다"고 말했다.
댓글 많은 뉴스
이재명 90% 득표율에 "완전히 이재명당 전락" 국힘 맹비난
권영세 "이재명 압도적 득표율, 독재국가 선거 떠올라"
[우리 아기가 태어났어요]신세계병원 덕담
"하루 32톤 사용"…윤 전 대통령 관저 수돗물 논란, 진실은?
'이재명 선거법' 전원합의체, 이례적 속도에…민주 "걱정된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