지금도 '도시가스'가 설치되지 않아 불편을 겪고 있는 주민이 많다. 대부분 아파트 생활을 해서 의아해하는 분이 많겠지만, 이게 현실이다. 단독주택의 도시가스 보급률은 지난해 기준으로 대구시 전체가 80.6%이고 중구 59.5%, 동구 66.5%, 서구 71.1%, 남구 77.2%, 북구 88.6%, 수성구 88.8%, 달서구 100%, 달성군이 56.6%이다. 지역별로 차이가 심하다.
도시가스는 액화석유가스(LPG)에 비해 편리하고 안전하며 가격이 저렴해 선호된다. 그런데 이 도시가스에 대해 주민이 민원을 제기해도 해결되지 않고, 신청을 해도 설치가 되지 않는다. 왜 이렇게 되었을까?
1982년 7월 산업자원부는 대구시에 일반도시가스 사업자를 선정하라고 지시한다. 그리고 대구시는 이 지침에 따라 도시가스 공급관의 배관공사가 초기비용이 많이 들지만, 누구나 사업자가 될 수 있음을 안내하고 2개 업체(대구도시가스, 영남에너지)를 선정했다. 이 사업의 체계는 산업통상자원부가 주관하며 한국가스공사는 가스를 수입'배분하는 역할을, 지역별 사업자가 각 가정에 공급하는 것이다.
1984년 4월에 대구도시가스㈜가 영남에너지㈜를 바로 흡수합병함으로써, 대구의 사업은 초창기부터 실질적으로 1개 업체가 사업을 하게 되었다. 이 회사는 서구 내당삼익아파트 도시가스 공급을 시작으로 대구시 전체뿐만 아니라 공급 범위를 확대해 경산시'군 전역과, 지금은 칠곡군 동명면과 고령군 다산면까지 공급한다. 2011년에는 상호를 지금의 '대성에너지㈜'로 변경한다.
도시가스를 설치하는 메커니즘은 주민 여러 가구(대부분 20가구 이상)가 시공업체를 선정하여 대성에너지에 신청을 한다. 대성에너지는 사업성을 검토한 후 가부를 결정하고, 순서에 따라 주 배관을 설치한다. 그 후 선정된 시공업체가 각 가정으로 들어가는 일반배관을 놓게 된다.
현재 각 가정에서 도시가스를 시설하려면 자부담이 400만~450만원 정도이다. 여기서 중요한 것은 각 가정에서 신청만 하면 설치되는 게 아니라, 대성에너지에서 자신의 수익성을 따지고, 또한 시공업체에서도 이익이 나야 하니 신청을 해도 차일피일 미룬다는 것이다. 주민은 주민대로 목돈을 내야 함에도 불구하고 이를 몇 년 동안 기다릴 수밖에 없다.
이처럼 1개의 기업만이 도시가스 설치를 주관하다 보니, 지방자치단체의 대응은 대성에너지의 판단만을 바라볼 수밖에 없게 되었다. 설치 가구당 20만~30만원의 시설보조금을 지급하고 있는 게 전부이다. 여기에 대해 대성에너지는 지금까지 자신의 투자비용이 만만찮음을 항변할 것이고, 자신들 외에도 가스사업의 문이 열려 있음을 강조할 것이다. 하지만 현실적으론 그렇지 않다.
대구시를 비롯한 각 구'군청에서도 이 부분에 대해 뚜렷한 대책이 없다. 손을 놓고 있다. 이런 문제에 대해 중앙정부는 지금이라도 적극적인 해결 방안을 마련해 주어야 한다. 지방자치제가 시행된 지 20년이 넘었다. 지방정부도 실력을 많이 키웠다. 대폭적인 권한 이양으로 지방재정 자율권을 확보해 주는 게 길이다.
30년 전 심사숙고하지 않은 정부가 시행한 도시가스 사업은 대표적인 민영화 사업의 실패작으로 봐야 한다. 이런 선례를 보더라도 어설픈 민영화는 그 해당 기업만 살찌우고, 주민에게는 되레 불편을 줌을 알 수 있다. 이는 민영화가 능사가 아님을 여실히 증명해 주고 있다. 주민을 위한 인프라 정책은 최소 반세기 정도는 내다보며 시행해야 한다. 이 같은 정책이 다시는 수립되지 않아야 한다.
댓글 많은 뉴스
박수현 "카톡 검열이 국민 겁박? 음주단속은 일상생활 검열인가"
'카톡 검열' 논란 일파만파…학자들도 일제히 질타
이재명 "가짜뉴스 유포하다 문제 제기하니 반격…민주주의의 적"
"나훈아 78세, 비열한 노인"…문화평론가 김갑수, 작심 비판
판사 출신 주호영 국회부의장 "원칙은 무조건 불구속 수사…강제 수사 당장 접어야"