새누리당 혁신비상대책위가 16일 탈당파 의원들의 일괄 복당 결정을 내리자 친박계는 반발했다. 청와대는 특별한 반응을 보이지 않고 있지만 일부 친박계 의원들을 통해 불편한 심기를 드러내고 있다. 특히, 강성 친박계 의원들은 절차적 하자를 지적하며 원천무효라는 주장을 펴는가 하면 공공연히 '의원총회에서 뒤집어야 한다'고 반발하고 있다.
하지만 이번 복당 의결은 혁신비대위의 권위와 직결되는 사안인 데다 정진석 원내대표까지 참여한 결정이기 때문에 새누리당 지도부 전체가 와해되는 위험을 감수하지 않고서는 되돌리기 어려울 것으로 보인다. 특히, 당의 통합을 위해 친박계와 비박계가 함께 삼고초려해 모셔온 김희옥 혁신비대위원장이 친박계의 반발에 '거취를 고민하겠다'는 반응을 보이고 있는 점도 친박계에는 부담이다.
친박계 강경파인 김태흠 제1사무부총장은 이날 혁신비대위의 복당 결정을 강력하게 성토했다. 김 의원은 "당의 중대한 현안은 의원총회와 같은 공식적 논의 기회를 만들어 전체 의견을 수렴해야 한다"며 "일부 혁신비대위원들이 비밀리에 작전하고 쿠데타를 하듯이 복당을 밀어붙였다"고 지적했다.
특히, 김 부총장은 "혁신비대위 비공개회의에서 권성동'김영우'이학재 의원이 일괄 복당에 대한 분위기를 잡고 정진석 원내대표도 이에 동조해 결국 승인이 이뤄진 것"이라면서 "이들이 김희옥 위원장을 협박하듯 압박한 것으로 안다"면서 '주동자'를 직접 거명하기도 했다.
하지만 당내 주류인 친박계가 실력 행사에 나서기도 쉽지 않다. 자칫 탈당파의 복당을 계속 반대할 경우 친박 패권주의라는 비판이 제기될 수 있는 탓이다. 아울러 친박계의 반발 수위가 예상보다 높자 당내 일각에선 복당 결정이 의원총회에서 무효화되는 것이 아니냐는 관측도 나오고 있지만 실현 가능성은 높지 않다. 통상 의총에서 결론을 내지 못한 사안은 원내대표나 지도부에 결정을 일임하는 것이 관례였기 때문에 비박계가 의총장에서 버티기만 하면 복당 결정은 최종 승인된다.
복당 결정에 참여했던 당 지도부는 고뇌에 찬 결단이었다는 점을 강조하며 오는 8월 9일 치러질 전당대회에서 당원들의 투표를 통해 당의 진로를 결정하자는 입장이다.
새누리당 관계자는 "전당대회를 통해 당권을 거머쥘 수 있는 친박계가 우여곡절 끝에 구성된 비대위와 의원들에 의해 선출된 신임 원내대표까지 밀어내는 방식을 선택하지는 않을 것으로 본다"며 "비대위원장 그리고 원내대표와 타협점을 찾을 것으로 본다"고 말했다.
청와대는 유승민 의원이 복당한 것에 대해 무거운 침묵을 지켰다. 청와대는 공식적인 입장을 내지 않은 것은 물론이고 참모들은 비공식적인 발언도 자제하는 모습을 보였다. 한 참모는 "당에서 결정한 일로, 청와대는 할 말이 없다"는 말만 되풀이했다. 그러나 청와대의 이런 무(無)대응 속에는 당혹감과 함께 이번 상황을 바라보는 강한 우려가 녹아 있다는 분석이 나온다. 특히 새누리당이 유 의원의 복당 결정과 관련해 사전에 전혀 교감을 하지 않은 것으로 알려져 청와대의 당혹감은 더욱 컸을 것이란 관측이 나온다.
댓글 많은 뉴스
이재명 90% 득표율에 "완전히 이재명당 전락" 국힘 맹비난
권영세 "이재명 압도적 득표율, 독재국가 선거 떠올라"
[우리 아기가 태어났어요]신세계병원 덕담
'이재명 선거법' 전원합의체, 이례적 속도에…민주 "걱정된다"
"하루 32톤 사용"…윤 전 대통령 관저 수돗물 논란, 진실은?