느닷없이 'K2 이전' 걱정하는 부산시장

입력 2016-06-15 19:59:54

"K2 이전에 예산 9조원 쓰자"

지난 13일 오후 대구 달서구 이곡동 월요시장에서 열린
지난 13일 오후 대구 달서구 이곡동 월요시장에서 열린 '영남권 신공항 염원 홍보 캠페인'에서 남부권신공항범시도민추진위원회 회원들이 부산의 '가덕도 유치를 위한 정치 쟁점화 중단' 등을 촉구하며 시민들을 대상으로 영남권 신공항 유치 캠페인을 하고 있다. 정운철 기자 woon@msnet.co.kr
서병수 부산시장
서병수 부산시장

'3조원은 가덕도, 9조원은 대구경북에(?)'

서병수 부산시장이 14일 영남권 신공항 관련 '상생 방안 최종본'이라며 또다시 엉뚱한 제안을 내놓아 구설에 오르고 있다.

서 시장은 이날 "처음 상생 방안을 제기했을 때는 12조원의 예산을 활주로 한 본짜리 가덕 신공항에 6조원 쓰고 나머지 예산은 TK 지역 공항의 리모델링 등에 쓰자는 것이었다"면서 "최근 들어 가덕 신공항은 민간 투자 의향이 제기되고 있기 때문에 국비 3조원(+민자 3조 원)만으로 짓고 나머지 예산은 전액 대구의 K2 군사공항 이전이나 민간공항 조성에 쓰도록 하자는 것이 최종적인 상생 방안"이라고 밝혔다.

이어 서 시장은 "TK 지역의 민간공항은 K2 군사공항과 뗄 수 없는 관계가 있다"면서 "밀양 신공항이 된다고 하더라도 민간공항만 밀양으로 옮기고 예산 부족으로 군사공항 문제를 해결할 수 없다면 TK 지역에 무슨 의미가 있겠느냐"고 말했다.

서 시장의 상생 방안에 대해 대구시는 이해할 수 없다는 반응을 내놓고 있다.

우선 K2 이전은 이미 '군공항 이전 특별법'이 국회를 통과해 국비 사업이 아닌 이전터 개발사업으로 진행되고 있어 신공항과는 전혀 무관하게 진행되고 있다.

대구시 관계자는 "특별법이 제정됐고 이에 따라 이전터 개발 이익으로 K2 이전을 추진하고 있으며 지난해부터 이전 비용 산정 실무 작업을 진행하고 있다"며 "국비가 전혀 들어가지 않는 사업에 대한 서 시장의 느닷없는 발언은 K2 이전에 대해 사전 지식이 전혀 없기 때문"이라고 지적했다.

가덕도 신공항 민자 유치도 현실성이 없는 발상이다. 영남권 시도가 10여 년을 매달려 국비 사업 진행을 요구했고 정부가 이를 받아들여 입지 선정이 진행 중인 상황에서 '민자 유치'를 꺼냈기 때문이다. 특히 신공항 건설에 민간자본이 투입되면 결국 공항 개장 후 이용료가 급격하게 상승해 영남권 시도민의 부담으로 돌아오게 된다.

가덕도 신공항 유치라는 무리수를 위해 '국비 지원 포기'에다 전혀 상관이 없는 'K2 이전'까지 끌어온 셈이다.

대구와 경북, 경남과 울산 시도 관계자는 "서병수 부산시장이 영남권 신공항과 관련해 현실성 없는 정치적 발언을 계속 쏟아내고 있다"며 "영남권 상생을 위해서는 당초 약속대로 정부의 입지 선정을 신뢰하고 결과를 받아들여야 한다"고 꼬집었다.

최신 기사