고령사회 전문가들 중 절반 이상이 고령자 기준 연령을 70세라고 응답했다.
한국소비자원은 정부부처, 공공기관, 민간단체'산업계, 학계 등으로 구성된 고령사회 전문가 100명에게 '행복한 고령사회 구축을 위한 소비자 정책 이슈와 과제'를 조사한 결과, 이 중 58%가 고령자 기준 연령을 70세라고 응답했다고 15일 밝혔다. 65세를 적정 연령으로 꼽은 전문가는 26%, 75세는 9%, 60세는 5%였다. 소비자원은 "현재 각종 법령에서 65세로 돼 있는 기준 연령의 상향 필요성에 대해 우리 사회에 어느 정도 공감대가 형성되고 있음을 보여준다"고 분석했다.
전문가들이 가장 중요하게 생각하는 고령 소비자 문제는 안전 문제였다. 이들 중 55%가 '상품의 성분'함량'구조 등 고령 소비자 안전기준 마련' '물품 및 서비스 관련 고령자 위해 방지' '의료'건강 서비스 등에서의 안전' 등 소비자 안전 문제를 우선순위로 꼽았다.
전문가들은 고령 소비자 정책에서 일방적 보호보다는 '보호-문제 예방-참여'의 삼각체계가 필요하다고 입을 모았다. 고령 소비자가 만족할 수 있는 고령사회를 만들기 위한 현재 수준 평가에서는 중앙정부(53.0점)-지자체(50.9점)-소비자(48.3점)-기업(43.6점) 순으로 나타났다. 연합뉴스
댓글 많은 뉴스
이재명 90% 득표율에 "완전히 이재명당 전락" 국힘 맹비난
권영세 "이재명 압도적 득표율, 독재국가 선거 떠올라"
이재명 "TK 2차전지·바이오 육성…신공항·울릉공항 조속 추진"
대법원, 이재명 '선거법 위반' 사건 전원합의체 회부…노태악 회피신청
한덕수·이준석 이어 전광훈까지…쪼개지는 보수 "일대일 구도 만들어야"