경북 재활병원, 경산 임당동에 들어선다

입력 2016-05-24 20:05:55

고고학계 논란 매듭, 2019년 개원…2호선 600m 교통 접근성 뛰어나

국책사업으로 진행되는 '경상북도 재활병원'의 위치가 사실상 최종 확정됐다. 경산시가 유치했으나 부지 위치를 두고 논란이 계속되다 임당동 공공용지로 정해졌다.

지난해 9월 보건복지부는 재활의료 서비스 공급 기반 확충을 위해 권역별 재활병원 건립 공모사업을 진행한 결과, 경상북도'경산시'경북대학교병원이 파트너로 나서 최종 사업자로 선정됐다.

경산시 등은 사업자 선정 이후 당초 예정 부지로 거론되던 갑제동 조폐공사 부지의 분할 매각이 어려워지면서 부지 선정 작업에서 혼란을 빚었다. 논란 끝에 경산시는 임당동 고분군 옆 공공용지(옛 학교용지)를 적지로 판단했다. 대구도시철도 2호선 영남대역과의 거리가 600m 정도로 접근성이 좋다는 장점이 부각된 것.

그러나 주변에는 임당고분이 있어 병원 건축 때 문화재 현상변경허가 및 확장의 어려움이 예상됐다. 또 원룸촌과 중형 아파트단지까지 있어 교통 혼잡과 주차난이 심각할 것으로 우려됐다.

지역 고고학계에서도 "이 부지는 압독국의 역사를 간직한 고분군에 인접한 유일한 공공용지로 압독역사문화관이나 박물관이 들어서야 할 자리"라는 주장을 폈다.

반대 여론이 거세지면서 지난해 12월과 지난 4월 경산시가 시의회에 공유재산 심의서를 제출했지만 의결이 보류됐다.

시의회는 24일 열린 제184회 임시회에서 찬반 논란 끝에 임당동 건을 조건부 통과시켰으며 다음 달 2일 본회의에서 최종 의결할 예정이다.

시의회는 ▷공신력 있는 기관을 통해 자체 교통량 용역조사를 하고 부정적 결과가 나오면 부지를 재선정 ▷지역 주민들의 불편사항이 없도록 대책 마련 ▷경북대병원과 운영에 대한 협약 체결 때 사전에 시의회와 협의를 해야 한다는 조건 등을 달았다.

경산시 관계자는 "재활병원 특성상 적자 발생이 불가피하지만 적자 최소화를 위해 임당동처럼 대중교통 접근성이 좋은 곳에 자리할 경우 자립화에 도움이 된다"며 "경북대병원 본원과 협진 체계 구축 등을 통해 최대한 빨리 자립할 수 있도록 하겠다"고 말했다.

경북대병원이 위탁운영할 재활병원은 국비 135억원, 지방비 135억원(도비 50%, 시비 50%) 등 모두 270억원을 투입, 6천㎡ 부지에 지하 1층'지상 3층, 150병상 규모로 짓는다. 내년 4월쯤 착공해 2019년 6월 개원한다.

최신 기사