7월 휴가철·8월 올림픽…與 조기 전대 일정 고민

입력 2016-05-23 20:33:29

비상대책위원회와 혁신위원회 인선을 놓고 불거진 새누리당 내 계파 갈등이 장기화 국면에 빠질 양상을 보이면서 당 안팎에서 조기 전당대회 개최를 주장하는 목소리가 커지고 있다.

이런 주장은 전대 출마를 고심 중인 것으로 알려진 일부 친박(친박근혜)계 후보군 사이에서 가장 두드러진다.

이주영 원유철 홍문종 의원 등이 대표적이다. 이들은 조기 전대를 통해 공식 당대표를 최대한 빨리 선출하고, 새 지도부에서 혁신안을 만들면 당을 조기에 안정시킬 수 있다는 입장이다. 친박계의 '맏형' 격이자 당내 최다선인 서청원 의원 또한 최근 중진들에게 조기 전대의 필요성에 대한 의견을 전달한 것으로 전해진다.

이에 반해 비박(비박근혜) 계에서는 조기 전대보다는 '정진석 비대위'에 힘을 실어 하루빨리 혁신안을 마련하고 이를 통해 '친박 패권주의'를 청산해야 한다는 기류가 강하다.

이처럼 친박계와 비박계 간 전대 개최 시기에 대한 생각이 달라 힘겨루기가 당분간 계속될 것으로 예상된다.

하지만 정작 전대를 조기에 개최하기로 결정한다고 하더라도 더 큰 걸림돌은 물리적인 시간이다. 지금 당장 전대 준비를 시작한다고 해도 빨라야 6월 말에나 개최가 가능하며 이 시기를 놓치면 시기를 정하기가 더욱 어려워질 것으로 예상된다.

7월부터는 여름 휴가철이 시작되는 데다 오는 8월 5일부터 21일까지는 리우올림픽이 예정돼 있기 때문이다. 이때와 겹치게 되면 새로운 출발과 혁신을 다짐하는 축제의 장이 돼야 할 전대가 국민의 관심권에서 멀어진 채 '흥행'에 실패할 수 있다는 우려가 나온다.

자칫하다 9월 정기국회 이후로 넘어갈 수 있다는 전망이 나오는 이유다. 당 관계자는 통화에서 "아무리 서둘러도 실무적인 준비를 고려하면 일정 확정부터 개최까지 최소 한 달 이상은 필요하다"면서 "또 전대는 전국에서 당원의 참여가 필요한 만큼 무턱대고 중앙당의 일정대로 밀어붙일 수도 없는 문제여서 고민이 크다"고 말했다. 연합뉴스

 

최신 기사