23.5% 늘어, 해마다 증가세…사료비 등 마리당 11만9천원
"국내에 등록된 반려동물이 97만9천여 마리로 100만 마리 시대를 목전에 두고 있다. 미등록 반려동물까지 고려하면 그 숫자는 훨씬 늘어난다. 반려동물이 늘면서 고민도 함께 늘고 있다. 버려지는 동물에 대한 관리문제가 지방자치단체의 새로운 고민거리로 등장했다.
농림축산검역본부에 따르면 지난해 유기된 반려동물은 8만2천82마리다. 개가 5만9천633마리(72.7%)로 10마리 중 7마리 이상을 차지했고, 고양이가 2만1천299마리(25.9%), 기타 1천150마리(1.4%)였다. 지역별로는 경기도가 1만9천728마리(24%), 서울 8천902마리(10.8%), 부산 7천51마리(8.6%), 경남 5천662마리, 인천 5천232마리 순이다. 인구가 많은 대도시에서 반려동물 유기가 많았다.
유기동물 발생도 계절에 따라 차이가 나 여름 휴가철이 낀 6∼8월에는 평소보다 배가량 많았다.
그나마 보호소를 찾는 유기동물 수가 2010년 10만900마리를 최고로 이후 점차 줄고 있다는 점은 고무적이다. 2012년은 9만9천300마리, 2014년 8만1천200마리였다. 반려동물 등록제 시행 이후 버려지는 동물이 준 것으로 검역 당국은 보고 있다.
유기동물 보호소는 전국적으로 307곳이 운영 중이다. 10곳 중 1곳가량은 지자체가 직영(28곳)하고 나머지는 동물단체나 동물병원이 위탁 보호하고 있다. 보호소 규모, 인력 등을 고려한 수용 규모는 2만2천여 마리다. 한 해 발생하는 유기동물 수가 10만 마리에 육박한 점을 감안하면 보호소는 늘 포화 상태다.
밀집 상태에서 동물을 보호하다 보니 사육 환경은 늘 시빗거리의 대상이다. 한 지방 동물보호소의 실태를 보면 심각하다. 보호 공간이 부족한 만큼 보호기간도 그만큼 짧을 수밖에 없다. 평균 23일로 한 달이 채 되지 못한다. 새 주인을 찾지 못하면 안락사 신세가 된다는 의미도 담고 있다. 2마리 중 1마리꼴인 46.6%가 주인이 찾아갔거나 분양됐으며 자연사 22.7%, 안락사 20%였다. 5마리 중 2마리 이상은 보호소에서 생을 마감한 셈이다.
유기동물 처리는 일선 지자체의 중요한 업무 중 하나로 예산이나 관리도 모두 지자체 몫이다. 전국적으로 지난해 유기'유실 동물 발생에 따른 처리 비용은 128억8천만원으로 전년보다 23.5% 증가했다.
처리 비용이 매년 큰 폭으로 늘고 있어 지자체의 고민이 그만큼 커지고 있다. 유기동물 처리 비용은 97억4천만원으로 100억원에 육박하고 있다. 보호소 근무 인력 916명의 인건비와 동물 사료비, 약품비 등 운영비가 주를 차지한다. 유기동물 한 마리당 처리 비용은 11만9천원꼴이다.
한 관계자는 "무엇보다 유기동물 발생을 줄이는 것이 우선돼야 한다"며 "유기동물 상당수가 인식 칩이 없다. 등록제 정착이 급선무다"고 덧붙였다.
연합뉴스
댓글 많은 뉴스
문재인 "정치탄압"…뇌물죄 수사검사 공수처에 고발
이준석, 전장연 성당 시위에 "사회적 약자 프레임 악용한 집단 이기주의"
[전문] 한덕수, 대선 출마 "임기 3년으로 단축…개헌 완료 후 퇴임"
대법, 이재명 '선거법 위반' 파기환송…"골프발언, 허위사실공표"
민주당 "李 유죄 판단 대법관 10명 탄핵하자"…국힘 "이성 잃었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