시도 경계지 치안센터 인력 철수…작년 수배자 대상 바뀌자 검거율 뚝 떨어져 "문닫자"
대구지역 검문소가 역사 속으로 사라지고 있다.
대구경찰청은 "지난 18일 24시간 경찰을 상주시켰던 시도 경계지역 (검문소형) 치안센터 인력 12명과 의무경찰을 최근 각 경찰서와 지구대로 옮겼다"고 24일 밝혔다.
경찰에 따르면 검문소의 기능이 군사'경비 목적에서 범죄 예방 기능으로 바뀌고, 이마저도 수배자 검문'검거 정도로 기능이 축소되면서 인력의 효율적인 활용을 위해 아예 상주 인력을 철수시키게 됐다. 해당 치안센터는 앞으로 관할 경찰서가 상황에 맞춰 탄력적으로 활용하게 된다.
대구지역 '검문소형' 치안센터는 북구 읍내동 동호치안센터와 동구 숙천동 대림치안센터, 달성군 논공읍 위천치안센터, 하빈면 동곡치안센터 등 4곳. 이들 치안센터는 수십 년 전 대구와 안동'경산'성주'고령 등으로 이어지는 길목에 설치돼 검문소로 불리며 군사와 경비 목적의 기능을 담당했다. 그러나 2005년 치안센터로 이름이 바뀌면서 검문소로서의 기능이 축소됐다. 이후 차량번호자동판독기(AVNI)를 활용한 수배자 검문'검거 정도가 주요 업무로 남았다.
그런데 그나마 남아있던 업무도 지난해 11월 경찰의 수배자 검거 대상이 변경되면서 유명무실해졌다. 수배자 검거 대상이 대폭 축소돼 업무가 크게 줄어든 것. 실제 올해 1, 2월 수배자 검거율은 전년도 같은 기간에 비해 98.7%나 감소했고, 수배 차량 판독 건수도 2천742건이나 줄었다.
대구경찰청 관계자는 "검거 건수가 거의 없는 상태에서 치안센터마다 경찰관 3명씩 24시간 상주 인력을 배치하는 것은 비효율적이라고 판단, 올 초부터 인력 재배치를 준비했다"면서 "다른 지역도 '검문형' 치안센터 인력을 축소해 일선 치안 현장에 배치하고 있는 추세"라고 말했다.
한편 검문소형 치안센터 인력 철수로 범죄 도주자 검거와 대테러 방지라는 검문소 고유의 기능이 약화되는 것이 아니냐는 우려의 목소리도 적잖다. 한 경찰관은 "최근 세계 주요 도시에서 테러가 발생하고 북한의 테러 위협도 계속되는 상황이기 때문에 검문소형 치안센터의 중요성이 오히려 높아지고 있는 상황이 아니냐"고 지적했다.
댓글 많은 뉴스
문재인 "정치탄압"…뇌물죄 수사검사 공수처에 고발
[전문] 한덕수, 대선 출마 "임기 3년으로 단축…개헌 완료 후 퇴임"
대법, 이재명 '선거법 위반' 파기환송…"골프발언, 허위사실공표"
野, '피고인 대통령 당선 시 재판 중지' 법 개정 추진
'어대명' 굳힐까, 발목 잡힐까…5월 1일 이재명 '운명의 날'