당내 당선자 37% 초선 대부분 친박계로 분류…계파 싸움 부담감이 변수로
'신임 원내사령탑, 초선 의원들에게 달렸다?'
새누리당이 다음 달 3일 원내대표 경선을 통해 신임 원내사령탑을 뽑기로 한 가운데, 초선 의원들(당선자'20대 기준)이 과연 어떤 선택을 할지에 관심이 모이고 있다.
당내 당선자 중 이번에 처음 국회에 등원하는 이는 45명으로 전체 122명 중 36.9%나 된다. 표면상으로 본다면 이들은 친박계로 분류된다. 지역구 초선(28명) 대부분이 친박계 지원으로 공천을 받았고 비례대표 17명의 상당수 역시 마찬가지다. 이런 구도만 본다면 차기 원내대표 경선은 싱거운 게임에 그칠 게 뻔하다.
그러나 변수는 있다. 총선 참패 뒤 내부에서 패배의 원인 중 하나로 공천 과정의 '친박 패권주의'가 지목되면서 '쇄신'의 목소리가 어느 때보다 높다. 특히 신임 원내대표는 '여소야대' 난국을 맡아 6월 전당대회 전까지 총선 참패 후폭풍을 뚫고 가야 하는 막중한 역할까지 주어져 있다. 여기에다 초선의원들은 선거를 치르며 매서운 '민심'을 직접 보고 들어 '계파전'이라는 구태를 반복하기엔 적잖은 부담도 느끼고 있다. 한 당선자는 "원내대표 경선서 다시 계파 싸움이 벌어지면 등원도 하기 전에 계파 꼬리표를 달게 돼 앞으로의 의정 활동 등은 제약을 받게 될 것이다. 이런 까닭에 많은 당선자가 현명한 선택을 할 것이라고 본다"고 했다. 이런 내외부적 상황이 복합적으로 작용하면서 차기 원내대표상(像)으로 '계파 수장형', '관리형', '쇄신형' 등 갖가지 모델이 거론되고 있다. 현재 원내대표로 비박계 심재철, 나경원, 김정훈 의원과 친박계 유기준, 홍문종, 정우택 의원 등이 물망에 오르는 가운데, 러닝메이트인 정책위의장과의 조합은 합종연횡이 이뤄질 것이라는 관측이 나온다. 친박 원내대표-비박 정책위의장 내지 비박 원내대표-친박 정책위의장 등이 그 예다. 한편에서는 아예 계파색이 옅은 중진 기용설도 흘러나온다.
댓글 많은 뉴스
문재인 "정치탄압"…뇌물죄 수사검사 공수처에 고발
이준석, 전장연 성당 시위에 "사회적 약자 프레임 악용한 집단 이기주의"
[전문] 한덕수, 대선 출마 "임기 3년으로 단축…개헌 완료 후 퇴임"
대법, 이재명 '선거법 위반' 파기환송…"골프발언, 허위사실공표"
민주당 "李 유죄 판단 대법관 10명 탄핵하자"…국힘 "이성 잃었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