한국 언론자유지수 70위, MB때 보다 더 나빠져 사상 최악

입력 2016-04-20 17:36:30

국경없는 기자회가 발표한 2016년 언론자유지수. 진한 색일수록 언론자유도가 낮다. 연합뉴스
국경없는 기자회가 발표한 2016년 언론자유지수. 진한 색일수록 언론자유도가 낮다. 연합뉴스

한국의 세계 언론자유지수가 2000년 이후 최악을 기록한 것으로 나타났다. 언론 통제가 극심했던 MB정권때 보다도 더욱 하락한 것이다.

국제 언론감시단체 '국경 없는 기자회'(Reporters Without Borders)가 20일 발표한 '2016 세계 언론자유지수'에 따르면 한국은 180개 나라 중 70위를 기록했다. 한국은 박근혜 정부 출범 첫해인 2013년 50위를 기록한 데 이어, 2014년 57위, 2015년 60위 등 4년 연속 하락하고 있다.

한국의 언론자유지수 순위는 2002년 집계가 시작된 이후 노무현 전 대통령 재임 시절인 2006년 31위로 최고점을 얻은 뒤, 이명박 정권 때인 2009년 69위까지 하락한 바 있다. 하지만 이번에 다시 한번 최하위 기록을 갱신한 것이다.

RSF는 한국의 언론자유 상황에 대해 "정부는 비판을 점점 더 참지 못하고 있고 이미 양극화된 미디어에 대한 간섭으로 언론의 독립성을 위협하고 있다"고 지적했다.

국경 없는 기자회는 언론 및 표현의 자유와 관련된 전 세계 18개 비정부기구와 150여명 이상의 언론인·인권운동가 등 특파원들이 작성한 설문을 토대로 매년 순위를 정한다. △다원주의 △권력으로부터의 독립 △자기검열 수준 △제도 장치 △취재 및 보도의 투명성 △뉴스생산구조 등 6개 지표로 구성돼 있으며, 언론자유침해와 관련한 장기수감자, 사망자, 피랍자, 망명자 등이 있는 경우 지수에 반영된다.

일본 역시 언론이 아베 신조 정권의 자기검열을 한다는 이유로 우리나라보다 낮은 72위를 기록했다. 반면 언론의 자유가 가장 잘 보장되는 곳으로는 주로 북유럽과 서유럽 국가들이 꼽혔다. 핀란드가 6년 연속 1위를 차지했으며, 네덜란드(2위), 노르웨이(3위), 덴마크(4위), 뉴질랜드(5위) 등의 순이었다.

최신 기사