중고령자 가구 한달 평균 생활비 153만원

입력 2016-04-18 18:28:18

2014년 기준 우리나라 50세 이상의 중고령자가 한 달에 쓰는 평균 생활비는 153만원 정도라는 조사 결과가 나왔다.

18일 국민연금연구원 연구진은 2014년 5월부터 9월까지 5개월간 국민 노후보장 패널 5차 부가조사 자료를 분석한 '중고령자 일상적 스트레스와 대처 전략' 연구보고서에서 이같이 밝혔다.

연구진은 전국 4천777가구의 중고령자 가구주(남성 3천264명, 여성 1천513명)를 50대(1천723명), 60대(1천173명), 70대(1천411명), 80세 이상(470명) 등 연령대로 나눠 일상생활 스트레스 정도와 경제 상황, 건강 문제, 삶의 만족도, 주관적 생활수준 등을 파악했다.

분석 결과, 전체 조사 대상자의 평균 가구 월 생활비는 153만600원이었다.

한 달 평균 생활비를 연령별로 보면, 50대 211만1천600원, 60대 129만1천100원, 70대 98만4천400원, 80세 이상 93만7천400원 등으로 가장 저연령인 50대가 최고령인 80세 이상의 2배가 넘었다. 성별로는 남성이 월 178만9천400원으로 여성 140만6천800원보다 많았다.

학력이 높을수록 생활비도 많이 드는 것으로 나타나, 대학 이상 학력 소지자의 월평균 생활비는 265만4천900원으로, 무학자(월 85만4천500원)의 3배에 달했다.

남편이나 아내가 있는 유배우자(월 187만600원)가 무배우자(월 100만9천800원)보다, 자녀가 있는 유자녀 집단(월 155만2천400원)이 무자녀 집단(월 105만2천원)보다, 취업자 가구(월 174만4천600원)가 비취업자 가구(월 131만3천800원)보다, 공적연금 수급자(월 126만7천700원)가 비수급자(월 104만2천400원)보다 월평균 생활비를 더 많이 지출하는 것으로 나타났다.

전체 조사 대상 중고령자의 70.5%가 이런 생활비를 본인이나 배우자가 부담하는 방식(근로소득 및 사업소득, 재산소득, 연금, 퇴직금, 예금 등)으로 마련했다. 23.7%는 자녀나 친척의 지원에 기댔고, 정부나 사회단체로부터 받는 보조금으로 생활비를 마련하는 경우는 5.9%에 불과했다.

이 밖에 중고령자들은 일상생활의 스트레스 중에서 가족 관계와 경제 문제로 겪는 스트레스 빈도가 상대적으로 잦았으며, 특히 여성'고연령자'저학력자'무배우자'비취업자'공적연금 비수급자일 경우 스트레스 강도가 높은 것으로 나타났다.

연합뉴스

최신 기사