대구경북 17곳 중 11곳이 '35% 할당제' 규정 안지켜
대구경북 이전 공공기관들의 올해 신입 사원 채용에서도 여전히 지역 인재 채용에 인색한 것으로 드러났다.
본지가 2016년 대구경북 지역 이전 공공기관 신입 직원 채용 계획을 파악한 결과, 총 17개 기관(중앙정부 소속 3곳 제외) 중 11개 기관이 지방대학육성법이 제시한 '지역인재 35% 할당제'에 부합된 계획을 내놓지 않거나 시행하지 않은 것으로 나타났다.
지난해 지역인재 채용률이 20% 미만이었던 8개 기관(표 참조)은 아예 지역인재 채용에 손을 놓고 있다. 할당제는커녕 목표제도 도입하지 않고 채용 공고에도 지역인재 우대 사항조차 마련하지 않은 것이다.
특히 신용보증기금과 한국수력원자력은 해마다 100명 이상의 신입 사원을 뽑는 등 상대적으로 많은 인력 채용에도 지역인재 채용률은 각각 16%, 9%에 불과했다. 신용보증기금은 비수도권 인재 35%, 그 중 대구·경북 지역인재 10% 채용 목표제를 올해부터 시행 예정이라 밝혔지만 할당제가 아닌 이상 큰 효과를 볼 수 없다는 지적이 있고 한국수력원자력은 아예 할당제와 목표제를 도입하지 않아 지역 발전에 기여하지 않는다는 비난이 일고 있다.
반면 한국사학진흥재단(71%)과 한국장학재단(42%) 등은 올해 지역인재 채용 35% 할당을 넘는 채용률을 보였고 한국건설관리공사(33%) 등도 35%에 근접한 수치의 채용을 기록했다.
대구시 관계자는 "공공기관 이전 취지가 지역 발전인 만큼 이전 기관들이 지역에 기여할 생각을 해야 한다. 특히 덩치 큰 공공기관부터 솔선수범하는 것이 중요하다"며 "지역 인재 채용이 자칫 역차별이 될 수 있다고 이유를 대지만 이는 핑계일 뿐이다"고 지적했다.
한편 공공기관 지역인재 40% 의무 채용을 공약으로 내건 김부겸 국회의원 당선자는 "현재 지역인재 채용 관련 법은 강제성이 없어 제대로 이행되지 않는 경우가 부지기수"라며 "반드시 의무화할 수 있게 입법하고 사기업 역시 당근책을 제시해 지역 인재가 더욱 성장할 수 있는 발판을 마련하겠다"고 밝혔다.
댓글 많은 뉴스
문재인 "정치탄압"…뇌물죄 수사검사 공수처에 고발
이준석, 전장연 성당 시위에 "사회적 약자 프레임 악용한 집단 이기주의"
[전문] 한덕수, 대선 출마 "임기 3년으로 단축…개헌 완료 후 퇴임"
대법, 이재명 '선거법 위반' 파기환송…"골프발언, 허위사실공표"
민주당 "李 유죄 판단 대법관 10명 탄핵하자"…국힘 "이성 잃었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