다음 달 뱃머리 5도 들어올려 리프팅빔 등 설치 공정 돌입
세월호 인양의 본격적인 작업이 다음 달 시작된다.
세월호가 침몰한 지 만 2년을 이틀 앞둔 이날 브리핑에서 연영진 해수부 세월호인양추진단장은 "7월 인양을 목표로 선수(뱃머리) 들기와 리프팅 프레임 설치 등 고난도 공정에 돌입한다"고 설명했다.
세월호 내부 탱크에 공기를 넣고 외부에 에어백 등을 설치해 부력을 확보한 뒤 뱃머리를 들어 올려 선체 아래에 리프팅빔을 설치한다. 해상크레인으로 리프팅빔을 끌어올려 플로팅 독에 올리고 플로팅 독을 부상시키는 방식으로 인양된다. 미수습자가 유실되는 일을 막기 위한 가로 200m, 세로 160m, 높이 3m의 철제펜스 36개는 설치가 완료됐다.
이달 말까지는 선체 내 탱크 10개에 공기를 주입하고 막대형 에어백 27개와 폰툰(물탱크 형태의 대형 에어백) 9개를 설치하는 작업이 진행된다. 이까지는 준비단계다.
뱃머리를 들어 올리고 리프팅빔 등을 설치해 크레인으로 끌어올려 플로팅 독에 올리는 등 이후 작업이 '실제' 인양에 해당한다고 볼 수 있다.
특히 해수부는 뱃머리를 들 때와 플로팅 독에 실린 세월호가 수면 위로 드러날 때를 인양 과정에서 '가장 주의할 시점'으로 보고 있다. 세월호가 완전히 침몰하고 처음으로 선체가 움직이게 되는 데다가 세월호가 물 위로 올라오면 부력이 사라지면서 하중이 늘기 때문이다.
뱃머리를 5도가량 올리는 작업은 5월 시작돼 약 한 달간 계속된다. 6월에는 들린 뱃머리 아래로 리프팅빔 19개를 한꺼번에 집어넣고 뱃머리를 다시 내린 다음 선미 아래에도 리프팅빔 8개를 넣는 작업이 진행된다.
세월호가 플로팅 독에 올라가는 날은 7월 중순 기상과 조류가 양호한 때로 결정될 예정이다. 플로팅 독은 반잠수 상태에서 대기하다가 세월호를 품은 다음 2, 3일에 걸쳐 서서히 부상하는데 이때 침몰 후 처음으로 세월호가 물밖에 모습을 드러낸다. 세월호가 실린 플로팅 독은 예인선에 끌려 전남 내 항구로 옮겨진다.
세월호가 옮겨질 항구는 목포신항과 광양항이 유력하다.
목포신항은 거리(110㎞)가 광양항(240㎞)보다 가깝지만 민간이 운영하는 항구라 세월호를 오래 거치하기 부담스럽고 광양항은 거리가 멀다는 단점과 정부 소유라는 장점이 있다.
어느 항구로 세월호가 갈지는 이달 중 결정될 전망이다.
인양업체인 상하이샐비지의 왕웨이핑(王偉平) 현장총괄감독관은 "세월호를 플로팅 독에 올리고서 안전성 등에 대한 점검이 끝나면 광양항이나 목포신항까지 하루면 갈 수 있다"고 설명했다.
세월호가 인양되면 세계적으로 유례없는 사례로 기록된다.
수심 45m 깊이에서 길이가 145m인 선체를 절단하지 않고 인양하는 사례는 세계적으로 처음이기 때문이다.
연영진 단장은 인양실패 또는 미수습자가 유실됐을 시 대책과 관련, "세월호 인양에 대해서는 절대로 실패를 생각할 수 없다"면서 "인양 과정에서 발생하는 변수는 해결할 자신이 있다"고 강조했다.
연합뉴스
댓글 많은 뉴스
이준석, 전장연 성당 시위에 "사회적 약자 프레임 악용한 집단 이기주의"
"대법원장 탄핵 절차 돌입"…민주 초선들 "사법 쿠데타"
[전문] 한덕수, 대선 출마 "임기 3년으로 단축…개헌 완료 후 퇴임"
민주당 "李 유죄 판단 대법관 10명 탄핵하자"…국힘 "이성 잃었다"
5·18묘지 참배 가로막힌 한덕수 "저도 호남 사람…서로 사랑해야" 호소