친박계 "무공천·무소속 출마 탓" 비박계 "친박의 공천 무리수 탓" 조기 전당대회 수순
총선 참패 후유증이 새누리당을 또 한 번 갈등 정국으로 빠뜨릴 기세다.
총선 책임론을 둔 당내 양대 계파의 갈등이 조기 전당대회를 기점으로 폭발할 것이라는 관측이 벌써 나오고 있다.
4'13 총선서 과반 의석은 물론, 제1당 자리까지 뺏기면서 새누리당은 '대패 책임론'에 휩싸여 있다. 총선 성적표를 받아든 새누리당 지도부는 낙선과 사의표명으로 사실상 해체 수순에 들어갔다. 지도부 공백 사태가 가시화되면서 조기 전당대회 개최가 불가피해졌다.
문제는 2017년 대선을 관리하게 될 차기 지도부 구성 전당대회가 선거 패배 책임론과 맞물려 있다는 점이다. 당내 패권이 걸려 있는 만큼 친박계와 비박계는 당권 경쟁에 사활을 걸 수밖에 없어 새누리당은 총선 참패에 따른 혼란을 수습할 새도 없이 당권 경쟁을 둔 격랑에 휩싸일 가능성이 크다.
공천 갈등이 참패로 직결됐다는 데는 계파 간 이견이 없다. 그러나 '책임'을 두고는 서로 포화를 날리고 있다. 비박계는 친박계의 공천 무리수에, 친박계는 비박계의 무공천'무소속 출마 강행에 화살을 돌릴 것으로 보인다.
양 계파는 상대의 책임론을 부각시키면서 패권 구도 재편에 나설 것으로 보인다. 정치권에서는 차기 당권을 둔 친박'비박계 간 시나리오가 거론되고 있다. 친박계는 박근혜정부 후반기를 지원하기 위해서라도 이번에야말로 당내와 원내를 모두 장악할 기회로 보고 있다.
당권 주자로 최경환 의원과 이주영'유기준 의원 등이 거론된다. 청와대와 소통 창구 기능을 톡톡히 한 원유철 원내대표 등도 오르내린다. 일단 이번 총선서 민경욱'조원진'추경호'곽상도'정종섭'홍문종'이정현 당선자 등 주요 친박계 인사가 대거 20대 국회에 입성, 출혈이 적었다는 점도 친박계로선 세 싸움이 유리해 보인다.
하지만 친박계가 총선 패배의 주요 원인인 공천 파동을 주도했던 만큼 비박계의 거센 공세가 예상된다. 더욱이 비박계는 친박이 진두지휘한 공천 파동을 겪은 바 있어 당권마저 밀리면 끝이라는 분위기가 감지되고 있다. 비박계 유력 대권 주자인 김무성 대표를 당 대선 후보로 만들기 위해서라도 당내 권력을 장악해야 한다는 명분도 있다.
하지만 내세울 인물이 보이지 않는 것은 숙제다. 이번 총선서 이재오 의원을 비롯한 친이계 인사가 대거 이번 총선에서 고배를 마셨다. 일각에서는 탈당파 무소속 당선자의 복당에 힘을 실어주면서 총선으로 정치적 영향력이 커진 유승민 의원을 내세울 수 있다는 관측도 나온다. 계파색이 옅은 주호영 의원의 이름도 나오고 있다.
댓글 많은 뉴스
이준석, 전장연 성당 시위에 "사회적 약자 프레임 악용한 집단 이기주의"
[전문] 한덕수, 대선 출마 "임기 3년으로 단축…개헌 완료 후 퇴임"
"대법원장 탄핵 절차 돌입"…민주 초선들 "사법 쿠데타"
민주당 "李 유죄 판단 대법관 10명 탄핵하자"…국힘 "이성 잃었다"
5·18묘지 참배 가로막힌 한덕수 "저도 호남 사람…서로 사랑해야" 호소