식품의약품안전처가 2016년부터 2020년까지 중점적으로 추진할 제1차 당류저감 종합계획을 발표했다. 우유를 제외한 가공식품을 통해 섭취하는 당류를 하루 열량의 10% 이내로 관리하겠다는 것이 주 내용이다. 가공식품을 통한 우리 국민의 당류 섭취율은 2013년 기준으로 총 열량의 8.9% 정도다. 식약처가 제시한 10%보다는 낮지만, 최근 몇 년 사이에 급격하게 늘어 2010년의 7.6%가 2013년에는 8.9%로 1.3%포인트 늘었다. 식약처 조사에 따르면 당류 섭취량이 하루 열량의 10%를 넘어서면 비만 위험은 39%, 고혈압과 당뇨병의 위험도 각각 66%, 41% 높았다.
우리나라 중고생의 비만율은 18%로 세계 최고 수준이며 이미 세계보건기구는 2014년, 당류 일일 섭취량을 전체 섭취 열량의 5%로 낮춰야 한다고 권고했다. 과다한 당류 섭취는 비만의 가장 큰 원인이다. 운동량을 늘려 비만을 예방하는 방법 등은 개인의 선택 문제지만 가공식품을 통한 당류 섭취는 관계 당국이 관리를 잘하면 최소화할 수 있다.
그러나 식약처가 내놓은 시행 계획은 느슨하다. 음료와 과자류 등 100개 식품 유형에 대해서는 당류의 '일일 영양 성분 기준치 대비 영양 성분 함유량'의 % 표기를 의무화하고, 2022년까지 단계적으로 시리얼과 소스류, 과일 채소 가공품류에도 표기토록 하겠다는 것이다. 또한, 어린이와 청소년이 좋아하는 탄산음료, 사탕류 등은 단계적으로 고열량, 저영양 식품 표시를 의무화한다는 방침이다.
당류 과다 섭취는 이미 많은 성인병의 주범으로 알려졌지만, 어떤 가공식품이든 빼곡하게 적힌 영양분 표시를 읽고 소비하는 국민은 드물다. 식약처의 계획이 효율적이지 못할 것으로 예상하는 이유다. 이미 세계 여러 나라는 설탕과 전쟁 중이다. 멕시코는 설탕이 든 음료수에 설탕세 10%를 매기고, 영국은 2018년부터 설탕세를 부과하겠다고 발표했다. 특히 싱가포르는 학교에서 감미료가 들어간 식품을 팔 수 없고, 음료는 생과일주스 같은 건강식만 허용한다. 이러한 적극적인 조치만이 당류의 섭취를 줄일 수 있다. 장기적으로는 설탕세 도입과 같은 강제를 통해 국민의 건강을 지키려는 의지를 보여야 한다.
댓글 많은 뉴스
문재인 "정치탄압"…뇌물죄 수사검사 공수처에 고발
홍준표, 정계은퇴 후 탈당까지…"정치 안한다, 내 역할 없어"
[매일문예광장] (詩) 그가 출장에서 돌아오는 날 / 박숙이
대법, 이재명 '선거법 위반' 파기환송…"골프발언, 허위사실공표"
세 번째 대권 도전마저…홍준표 정계 은퇴 선언, 향후 행보는?