도시 외곽 멀지 않은 시골 동네에 가면 어림잡아도 100년은 넘은 듯한 아름드리 고목(古木)을 볼 수 있습니다. 요즘처럼 한겨울을 견뎌내고 새싹이 움틀 준비를 할 때는 죽음과 삶이 함께 있는 듯한 신비로움이 느껴집니다. 새봄에 움을 터 신록(新綠)의 때를 거쳐 한여름 땡볕이 내리쬘 때면 동네의 많은 사람들에게 더할 나위 없이 좋은 쉼터가 되겠지요.
차에서 내려 잠시 동안 그 멋들어진 모습을 감상하는데 문득 이런 생각이 들었습니다. '저 큰 나무도 어리고 자그마한 묘목으로부터 자라났을 것인데, 누가 심었을까! 심으면서 무슨 생각을 했을까! 자라면서 얼마나 많은 어려움을 겪었을까? 또 얼마나 많은 사람들이 이 나무 그늘에서 쉬었을까!' 그리고 한편으로는, '저런 나무 한 그루 우리 성당 마당에 있으면 얼마나 좋을까'라는 시샘이 들기도 했습니다.
나무를 심을 때는 인내가 필요합니다. 조그마한 나무가 자라 줄기를 뻗어 시원한 그늘을 만들어내기까지 수십 년이 넘게 걸릴 것입니다. 또 살아남기 위해서 얼마나 거센 비바람을 견디어내야 할지도 모릅니다. 심은 사람은 자신이 살아있을 때 그 그늘을 보지 못할 수도 있습니다.
지금 우리 사회에는 이러한 나무 심는 사람의 마음이 필요한 것 같습니다.
먼 훗날 다른 많은 이들에게 편안한 쉼터가 될 것을 생각하면서,
누군가는 생명력 있는 건강한 묘목을 심고,
또 누군가는 거친 땅속에 튼튼히 뿌리내릴 수 있도록 꼭꼭 밟아주고,
또 다른 누군가는 힘찬 줄기가 뻗어나오도록 정성으로 보살펴 줄 때,
그 나무는 세월이 갈수록 멋을 더할 것입니다.
선거 장터가 열렸습니다. 정치라는 나무를 파는 사람들이 저마다 한 묶음씩 들고 와서 우리 동네에 심겠다고 합니다. '이런 꽃을 피우겠다. 저런 열매를 맺겠다'고 자신 있게 자랑합니다. 어떤 사람은 제발 자기 것을 사달라고 고개를 숙여가며 애걸하기도 합니다. 하지만 우리는 잘 구별해야 합니다. 때론 병든 나무를 파는 이들도 있고, 나무를 가장한 화려한 플라스틱 인형을 들고 오는 사람들도 있고, 우리 동네에 어울리지도 않는 나무로 현혹하는 사람들도 있기 때문입니다. 그렇기 때문에 살아있는지, 잘 자랄 것인지, 또 우리가 키울 수 있는 것인지 세심하게 골라야 합니다. 그리고 한번 심으면 관심을 갖고 기다려 주어야 합니다. 생각만큼 자라지 않는다고 뽑아버리고, 옆 동네 큰 나무가 보기 좋다고 뿌리 없이 잘라 심으면 당장은 좋지만 얼마 지나지 않아 말라 죽을 것입니다.
결국 우리 동네 마당에서 자랄 나무들이고, 우리가 키워나갈 것이고, 우리와 우리의 후손들을 위한 나무들입니다.
댓글 많은 뉴스
문재인 "정치탄압"…뇌물죄 수사검사 공수처에 고발
이준석, 전장연 성당 시위에 "사회적 약자 프레임 악용한 집단 이기주의"
[전문] 한덕수, 대선 출마 "임기 3년으로 단축…개헌 완료 후 퇴임"
대법, 이재명 '선거법 위반' 파기환송…"골프발언, 허위사실공표"
민주당 "李 유죄 판단 대법관 10명 탄핵하자"…국힘 "이성 잃었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