전국 178곳 '一與多野' 구도…더민주 "후보단일화 서두르자"

입력 2016-03-27 22:30:02

문재인 야권통합 전도사 나서

4'13 총선이 일여다야(一與多野) 구도로 전개됨에 따라 제1야당인 더불어민주당의 속이 타들어가고 있다. 최대 승부처인 수도권의 경우 새누리당과 일대일로 맞붙더라도 당선을 장담할 수 없는 상황이기 때문에 이대로 선거를 치를 경우 참패가 불가피하다.

더불어민주당 후보들은 공식선거운동이 시작되는 31일 또는 늦어도 투표용지 인쇄가 마무리되는 내달 4일 전까지는 야권후보단일화 작업이 이뤄져야 한다고 목소리를 높이고 있다.

중앙선거관리위원회가 27일 공개한 제20대 국회의원선거 후보자명부에 따르면 전국 253개 선거구 가운데 일여다야 구도가 펼쳐진 선거구는 수도권 105곳을 포함해 모두 178곳에 달한다. 이 중 더불어민주당과 국민의당, 정의당 등 3개 정당이 동시에 격돌하는 선거구는 43곳이며 그중 24곳이 수도권이다.

애초 더불어민주당은 막상 후보등록이 시작되면 경쟁력이 약한 야당후보들이 등록을 포기하면서 자연스럽게 단일화가 성사될 것으로 기대했다. 하지만, 국민의당과 정의당이 비례대표 의석 확보를 위해 후보들을 적극 출마시키면서 더불어민주당의 기대는 물거품이 됐다.

이에 문재인 전 대표가 야권통합 전도사로 나서고 있으나 효과는 미지수다.

문 전 대표는 27일 경기도 성남시 분당갑 김병관 후보와 함께 부활절 미사에 참석한 뒤 기자들과 만나 "우선 좋은 결과를 내놓기 전에 야권후보 단일화가 꼭 필요하다"고 강조했다.

하지만, 국민의당이 당과 협의 없이 후보가 임의로 단일화를 할 경우 제명을 포함해 정치권에서 퇴출시키겠다고 엄포를 놓은 데다 정의당도 공천 확정 후 개별 연대 협상을 금지하고 있어 후보연대가 진척을 이루지 못하고 있다.

서울에 출마한 더불어민주당의 한 의원은 "연대가 안 되면 야권이 참패할 수 있다"며 "최소한 선거운동 개시 전까지는 단일화가 되어야 하는데 그 시기를 놓치면 효과가 많이 없다"고 말했다. 야권이 선거운동 시작(31일) 전까지 단일화를 하지 못할 경우 투표용지 인쇄가 시작되는 내달 4일이 실질적인 마지노선이 된다. 이후에는 투표용지에 후보자 '사퇴'가 표시되지 않기 때문에 단일화 효과가 크게 줄어든다.

최신 기사